솔직하게 말하면 생소할 건 없다. 역대 대통령 선거가 주로 이랬다. 선거 기간 내내 지방을 훑는다. 영남·호남·충청에 모두를 건다. 당연히 공약도 그 지역에 집중된다. 경기도는 캠페인 초기 찾기 어렵다. 후보자 모습도 뵈지 않는다. 경기도 공약도 구경하기 어렵다. 선거판에 바람몰이 이론이다. 남쪽 바람을 경기도는 따라온다는 계산이다. 모든 선거는 아니지만 대개 선거가 이랬다. 이번에도 지금까지는 그렇다.
이재명·윤석열 등 대통령 후보들의 모습이 안 보인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경기지사 출신이다. 그래서인가 더 보기 어렵다. 영호남에서 거의 살다시피 한다. 충청 지역 집중 유세에 힘쓴다. 혹, 경기도를 화투판에 ‘굳은 자’로 보는 것은 아닌가. 윤 후보는 경기도와 특별한 인연도 없다. 더 공을 들이는 것이 상식적이다. 하지만, 그런 모습이 없다. 당내 경선 과정보다 더 발길이 뜸해졌다. 포기했을 리가 없을 텐데 이런다.
당연히 공약도 실종됐다. 윤 후보 쪽에 경기도 공약이 없다. 경선 때인 지난달 1일 경기도당을 찾았다. 당협위원장 간담회에 참석한 뒤 말했다. “경기도를 포함한 지역 공약은 다 준비돼 있다…(발표 시점은) 11월 5일(후보 선출) 이후가 될 것이다.” 한 달이 넘었다. 경기지역 공약은 여전히 없다. 당 관계자는 “다 돼 있다”고 한다. 있을 거라고 본다. 하지만, 그래도 발표 안 하는 건 문제다. 절박하지 않아 보인다.
도지사였던 이 후보는 좀 낫다. 공약의 대략적 틀을 말했다. 경기도를 한반도 평화경제의 중심지이자, 첨단산업과 반도체 허브도시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북부 관련 공약도 강조했다. 규제 완화와 미군 공여지 개발 등을 말했다. 하지만, 빈약하기 짝없다. 그나마 4년 전 문재인 후보의 공약 그대로다. ‘북부 접경지역 규제 완화와 미군 공여지 국가 주도개발’이라는 그 때 공약이 생생하다. 도지사 출신이 이것밖에 안되나.
뿌리 깊은 선거 기술이다. 3남 바람이 경기도를 삼켜온 선거 역사도 사실이다. 쉽게 바뀔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이번엔 다를 것 같다. 이미 그 전조가 나타난다. 서울 표심이 균등하지 않다. 5~10% 가까이 쏠린다. 경기도도 그렇게 갈 수 있다. 도지사 평에 후해 이재명에 쏠릴 수 있다. 도지사 평에 인색해 윤석열에 쏠릴 수 있다. 미뤄둘 표밭이 아니다. 경기도로 와라. 경기도 공약을 내라.
경기도 오는 자 이길 것이고, 그런 자가 대통령 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