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달스마트밸리 사업 진행 과정에서 자꾸 잡음이 생기고 있다. 사업자를 공모하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져 곤혹을 치루더니, 이번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부적격 심사위원이 참여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사업자 공모와 심사에선 투명성과 공정성이 생명인데 뭔가 석연치 않아 보인다.
안양시가 미래발전 동력으로 추진 중인 ‘서안양 친환경 융합 스마트밸리(일명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은 만안구 박달동 일원 328만㎡에 조성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전체 부지 가운데 114만㎡는 기존 탄약고를 지하화해 국방부에 기부하고, 213만㎡ 부지에는 4차산업 중심의 첨단산업과 주거ㆍ문화시설을 갖춘 스마트복합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총 사업비 2조5천억원대 사업으로 안양도시공사가 추진한다.
그런데 지난 8월 1차 사업자 공모 과정에서 공모지침서상 ‘재무적 출자자(금융기관) 평가기준’을 제한적으로 명시해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도시공사는 일부 평가기준의 공정성 논란 등을 이유로 9월에 사업자 공모를 취소했다. 이후 성남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1천억원 이상 배당금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화천대유’ 관계사인 ‘천화동인 4호’가 이름을 바꿔 (주)엔에스제이홀딩스로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것이 드러나 또 다시 논란이 됐다. 일각에선 대장동 사업 논란과의 연관성 때문에 사업자 공모를 취소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업 시행자인 안양도시공사는 재공고를 했고, 지난 28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위한 공모심사위원회를 개최했다. 7개 분야 전문가 10명이 참여했는데, 군사·국방 분야 심사위원의 무자격 문제가 제기됐다. 도시공사는 심사를 중단했고, 심사위원 적격 여부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이 불투명하게 진행된다는 지적이 많다. 자꾸 잡음이 생기는 것은 뭔가 문제가 많은 것처럼 보인다. 신뢰성도 떨어진다. 사업자 공모 취소에 이어 재공모에서 또 심사위원 자격 문제가 불거진 것에 대해 안양시와 안양도시공사는 자성해야 한다. 특정업체를 염두에 두고 밀어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흘려 들어선 안된다.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에 대해 국민 공분이 크다.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이 대장동같은 폭탄이 되지 않으려면 특혜 시비에 휘말려선 안된다. 지난 9월 인천도시공사는 검단신도시 공동주택용지 설계공모 당선자 발표 과정을 유튜브로 생중계하고, 회의 후 곧바로 결과를 발표했다. 안양시도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로 사업을 진행, 민간사업자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한점 의혹없는 공정한 사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