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는 경기도민의 뜻을 받든다. 경기도의 이익을 대변한다. 수도권 역차별에 단호히 반대한다. 공공 기관 강제 이전을 규탄한다. 도민 속에 젖은 보편적 정서다. 그 대척 지점에 충청도가 있다. 가장 상징적인 곳이 세종시다. 출발부터 수도권 대체지였던 곳이다. 그 적나라한 피해 지역이 과천시다. 우리는 늘 이 점을 말해왔다. 경기일보가 이제 그 세종시에 진입했다. 세종미디어센터 건립에 함께한다. 지방신문사로 처음이다.
세종시와 지난 29일 업무협약을 맺었다. ‘경기일보 세종미디어센터’ 건립을 위한 MOU다. 세종시에 오는 2027년 국회 세종의사당이 건립된다. 그 의사당 인근에 종합미디어단지가 조성될 계획이다. 이 사업에 경기일보와 세종시가 힘을 보태자는 협약이다. 협약식에 참석한 이춘희 세종시장이 말했다. “세종시가 행정수도에 걸맞은 뉴미디어 허브거점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경기일보 세종미디어센터 건립에 적극 협력해 나가자.”
본보 신항철 대표이사 회장도 협약 정신을 설명하고 협력을 약속했다. 세종특별자치시와 손잡고 자치분권과 지역 균형발전을 선도해가자고 화답했다. 지금까지 같은 취지의 협약을 체결한 언론은 16곳이다. MBC, YTN, 한겨레, 연합뉴스, EBS, 경향신문, SBS미디어넷 등이다. 모두 이른바 중앙 언론이다. 충청권을 제외한 지방 신문 중에서는 경기일보가 처음이다. 수도권 유료부수ㆍ열독율 1위인 경기일보가 자임한 역할이다.
우리의 사명은 추호도 변치 않는다. 세종시가 수도권의 이익과 충돌할 여지가 있음이 현실이다.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논리가 주는 부당함도 여전하다. 과거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공공 기관 추가 이전, 이를 위한 법률 등장 등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여전히, 그리고 변함없이 이 점을 경계한다. 도민으로부터 부여받은 변치 않는 과제다. 세종시와의 미디어센터 건립 협약에 임하는 경기일보의 이유이기도 하다.
2022년이 밝아온다. 경기도민의 숙원이 여전하다. 산업 재배치 강제로 인한 경쟁력 저하, 동북부권 중첩 규제로 인한 재산권 침해, 남ㆍ북도 간에 산적한 인프라 불균형, 황해권의 국제 중심으로의 미완, 그리고 정치 변방으로부터의 한계 등 즐비하다. 이런 도민의 욕구를 이제 세종시에서 선언하려고 한다.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당당히 경기도민 목소리를 높이려고 한다. 경기일보 세종미디어센터가 그 본산이 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