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하락 현상이 또렷하다.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경기지역 아파트값 상승세가 둔화됐다. 안양, 성남, 광명, 시흥, 광명, 화성, 동두천 등 일부 지역의 하락세가 특히 주목된다. 경기일보가 경기지역 전반의 아파트 거래내용을 분석했다. 최근 몇 달 사이 가격이 하락한 아파트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국토부가 발표하는 통계 수치와는 차이가 상당히 있다. 평균 하락폭도 크고, 국지적으로는 더욱 그렇다.
안양 호계동의 평촌어바인퍼스트를 보자. 지난해 초 입주를 시작했다. 전용면적 59㎡가 지난 11월 6억5천만원(10층)에 거래됐다. 6월까지만 해도 같은 평형의 거래액이 9억원(11층)이었다. 5개월 사이 2억5천만원 낮아졌다. 화성 동탄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잡힌다. 동탄역시범한화꿈에 그린프레스티지다. 4개월 사이 3억2천만원이 하락했다. 지난해 8월 14억5천만원(5층)에 최고가를 경신했던 이 단지의 전용 84㎡ 매물이 지난달 11억3천만원(3층)으로 낮아졌다.
통계로 확인되지 않는 지엽적 하락세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남에서는 지난해 5월 15억7천만원(9층)에 거래됐던 미사강변호반써밋플레이스 전용 99㎡가 10월에 13억5천만원(18층), 지난달 12억원(3층)에 매매됐다. 다만, 이들 지역의 실거래가 많지 않은 공통점은 있다. 확인된 거래를 전체 평균가로 보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이유다. 그렇더라도 거래 가격의 경향이 상승 둔화ㆍ하방 강화로 나타나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대체적으로는 일시적 현상이라 본다. 지난해 말부터 부동산 업계는 거래절벽이었다. 이런 시장에 일부 급매물이 등장했고, 이게 거래 평균가로 잘못 읽히고 있다고 설명된다. 여기에 극단적인 특수 거래를 의심하는 분석도 있다. 가족 간의 거래 또는 다운 계약을 의심하는 견해다. 전문가 견해도 대체로는 그렇다. 일부 급매물 거래가 전체 집값 하락으로 오해되는 경우라고 해석한다. 여전히 풍부한 시중 유동성이 이런 논리의 근거다.
부동산 시장을 예측할 순 없다. 현재의 동향으로 미래를 점칠 수도 없다. 그럼에도, 집값 변화는 초미의 관심이다. 그 흐름 속에 의미를 찾으려 애쓴다. 지금 경기도 내 아파트값이 그렇다. 하방 곡선을 향한 채 심하게 꿈틀댄다. 그 경사도가 연말을 전후해 급해졌다. 아파트값 하락의 전조라고도 한다. 조정 후 반등의 추세로 해석하기도 한다. 부동산 가격은 폭락이 폭등의 그것보다 무섭다. 소비자뿐 아니라 정책 입안자들이 면밀히 추적해야 하는 이유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