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추진 중인 한강변 도시개발ㆍe-커머스 물류특화단지 중심의 스마트 도시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다.
구리시는 국토교통부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구리시 스마트도시 계획안(2022~2026)을 최종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에 따라 자가통신망 등 스마트형 기반시설 구축을 위해 연차별로 221억원을 투입, 스마트 도시개발을 위한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도시 계획안의 주요 골자는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5년 동안 5대 목표별로 33개의 세부 실행과제 연도ㆍ단계별 추진이다.
시는 이를 위해 서비스 도출, 도시 운영ㆍ관리 중심의 정보체계 구축, 시민 체감형 서비스 제안 등을 기조로 새로운 변화를 시민과 함께 공유하는 스마트 혁신도시 구현을 최종 목표로 정했다.
5대 목표는 스마트 성장도시, 스마트 녹색도시, 스마트 시민중심도시, 스마트 데이터 도시, 스마트 특별시 등이다.
성장도시 구현을 위해선 스마트 제조업 지원 플랫폼을 비롯한 스마트 팜과 푸드테크 스마트 시스템 구축 기반을 마련하고 스마트 에너지 통합관리, 에코 자판기, 행복구리 가상발전소 등으로 녹색도시를 조성한다.
시민소통 리빙랩 플랫폼, 스마트 방범초소, 스마트 버스정류장 등으로 시민중심 도시를 조성하고 스마트 정보 게시판, 실시간 교통상황 모니터링 서비스, 스마트 주차공유사업 등으로 데이터 도시를 만든다.
이밖에 스마트 안심트리, 스마트 모빌리티, 고구려 역사문화 스토리텔링 등으로 스마트 특별시를 조성하는 복안을 담고 있다.
안승남 시장은 “스마트 도시계획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사회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겠다”며 “앞으로 스마트 도시 서비스를 통한 지역산업 육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모두가 행복한 도시건설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구리=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