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라고 평해야 할지 모르겠다.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다. 이런 예는 아예 본 적이 없다. 엄연한 현직 도의원이다. 임기도 아직 몇 달 남았다. 그런데 갑자기 이력서를 넣었다. 다른 곳도 아닌 산하기관장 자리다. 해당 의원을 그만둔 뒤에 지원했더라도 전관 문제다. 그런데 이건 배지를 달고 지원서를 넣었다.
궁금하다. 동료 도의원이 어떻게 생각할까. 소속 정당은 알고 있었을까. 그를 뽑은 지역구민이 알면 뭐라 할까. 민선에 예가 없는 황당한 일을 지금 보자.
경기도의회 이모 의원이다. 민주당 소속 초선이다. 수원시 장안구에 지역구가 있다. 최근 경기주택도시공사(GH) 사장 공모에 지원했다. GH는 경기도 출연 기관이다. 당연히 경기도의회 감독을 받는다. 감독하던 도의원이, 감독받던 기관의 사장 자리에 응모한 것이다. 모집 마감이 11일이었는데 뒤늦게 알려졌다.
당장 공정성 지적이 생긴다. 선발의 최대 관문은 추천을 받는 것이다. GH 임원 추천 위원회가 한다.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3명이 경기도의회 추천이다. 나머지 2명은 GH 이사회, 2명은 경기도 몫이다. 도의회 점유율이 절대적이다. 의회 관계자가 의혹을 부정한다.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으로 누가 됐는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형평성에 어긋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도민들이 그렇게 믿을까. 만일 도의회가 이런 상황을 감사한다고 치자. ‘아무 문제 없다’고 결론 낼 수 있나.
두 번째 거칠 절차도 영 이상하다. 인사 청문회다. 도의원들이 직접 한다. 통상 내정자들에 가장 힘든 고비다. 지난달 경기관광공사 사장은 여기서 낙마했다. 나이 61세가 ‘열정 없다’며 트집 잡혔다. 그런 잣대를 이 의원에도 들이댈 수 있나. 같은 10대 도의원끼리 하는 청문회다. 동료 취직 시켜주기로 갈 수 있다.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상상이다.
도의회는 민주당이 절대 다수다. 민주당 합의가 곧 의회 방향이다. 민주당 의원끼리 맞추면 다 된다. 그러다 여기까지 왔다. 중앙 정치가 하는 역할도 별로 없어 보인다. 누가 봐도 지방 의원의 일탈이다. 이를 말렸어야 했는데 그런 얘기는 없다. 오만이다. 유권자에 보이지 말아야 할 오만이다. 아주 큰 대통령 선거가 있지 않은가. 아주 작은 지방 정치가 그 향배를 가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