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원특례시, 구청 1개 신설은 필요하다/단, 지역 갈등 불씨 만들지 않게 그려라

광교는 이미 현실 속에서는 독립됐다. 광교라는 별개 행정 구역처럼 여겨진다. 영통구라는 정식 행정 명칭이 되레 낯설 정도다. 생활 환경 등 제반 조건이 특별하다. 일찍부터 요구돼온 게 광교구(가칭) 신설이다. 신도시 조성 초기부터 있었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기됐다. 하지만 안 됐다. 이유 중 하나가 부족한 인구였다. 십수만 정도로는 독립 구를 구성하기 어렵다. 그랬던 광교의 인구가 많이 늘었다.

마침 광교구 신설 주장이 다시 나온다. 수원의 다섯 번째 행정 구역으로 만들자는 주장이다. 여기엔 무시 못할 사정 변경 요소가 있다. 특례시 출범이다. 1월 13일부터 수원은 특례시다. 걸 맞는 행정 조직이 필요해졌다. 그간 자주 비교돼 온 것이 울산이다. 인구는 수원이 많은데 행정은 울산이 크다. 이 차별을 정당화하는 근거는 하나였다. 수원은 일반 시, 울산은 광역시라는 논리다. 이제 달라졌다. 수원도 특례시다. 일반 시보다는 확대해야 할 근거가 마련된 셈이다.

또 하나는 광교 인구의 폭발이다. 현재 광교는 구(舊)영통과 묶여있다. 광교신도시로 구 전체 인구가 늘었다. 영통구 현재 인구는 36만여명이다. 인접한 팔달구가 18만여명이다. 같은 수원시 산하 구청인데, 인구가 두 배 차이다. 팔달구에 문화 유적 특수성이 있음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시민의 행정 서비스가 반토막이어서는 안 된다. 정치 지역구는 헌법에 의해 강제 조정된다. 구청이 4개인 수원의 정치 지역구가 5개로 늘어난 지 이미 오래다.

구청 신설은 행정 서비스 기회 증가를 말한다. 구청 신설의 최대 수혜자는 수원 시민일 것이다. 이걸 누가 반대하겠나. 우리도 찬성한다. 기회라고 본다. 살폈듯이 특례시 출범이라는 호재가 있다. 때마침 국회의원들도 움직일 태세다. 광교구 신설을 지역 현안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지역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만들겠다고까지 한다. 좋다. 정치적으로 가장 확실히 담보 받는 길일 것이다.

다만, 구 신설 추진에 더할 조언이 있다. 구청 신설 밑그림을 전체 수원으로 봐야 한다. 인구 과중은 광교(영통구)만의 문제가 아니다. 똑같이 인구 36만인 권선구도 있다. 같이 놓고 그려야 한다. 또 하나 있다. 지역 내 계층 구분의 불씨를 낳아서는 안 된다. 70년대 분당 개발은 성남을 쪼갰다. ‘분당구는 잘 사는 동네, ○○구는 못사는 동네’였다. 심각한 지역 문제였다. 그 갈등 해소에만 근 30년 소요됐다.

균형되고 조화로운 구획을 그려야 한다. 잘사는 동네와 못사는 동네를 무 자르듯 갈라 놓는 획정은 안 된다. 자칫 30년짜리 지역 갈등으로 될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