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미크론 내달 수만명, 설 이후 대응 전환은 늦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본격화하고 있다. 26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만3천12명 늘어 누적 76만2천983명에 이르렀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4천441명 증가했다.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2배 이상 센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우세종이 되면서 다음달 신규 확진자가 3만명 이상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최악의 경우 내달 하순 하루 10만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안일한 대처는 금물이지만 과도한 불안감에 휩싸일 필요도 없다”며 “정부는 고령층 3차 접종률을 높이고 병상을 확충하는 한편, 먹는 치료제 도입 등 오미크론에 대비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설에는 가능하면 고향 방문을 자제해달라. 특히 본인과 부모님 중 어느 한쪽이라도 3차 접종을 마치지 못한 경우 만남을 미룰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확산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 돼 신속한 대응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정부 대응은 답답하다. 확진자 급증이 충분히 예상됐는데도 늑장 대응으로 불신과 혼란을 키우고 있다. 설 연휴에 고향 방문과 이동을 자제해달라, 모임을 줄여라 등 국민들에게 불편과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과 치명률, 의료현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유전자증폭(PCR) 검사 대신 신속항원검사로 대체하고 자가격리 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책을 내놓았는데 늦은 감이 있다. 1차 의료기관인 동네 병·의원 중심으로 방역 체계를 전환한다는 방침도 준비가 안됐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 환자를 어떤 식으로 분리해 치료할지 명확한 지침이 없어 현장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동네 병·의원은 일반 환자와 코로나19 환자의 동선을 분리하기에 공간이 좁다.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음압시설을 갖춘 곳도 거의 없고 환자를 관리할 인력도 부족하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수만명에 이르면 방역을 넘어 의료·교통·돌봄·물류 등 사회 곳곳의 기능이 마비될 우려가 있다. 우리보다 앞서 확진자가 쏟아져 나온 미국, 일본 등 각국에서 병원, 마트 등 필수시설에서 인력난으로 심각한 업무 차질이 빚어진 바 있다. 한국도 하루 확진자가 5만명을 넘으면 여기저기에서 마비 현상과 혼란이 나타날 수 있다.

정부는 해외 선례를 거울 삼아 사회 각 분야의 대응 체계를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 설 연휴 이후의 대응 전환은 너무 늦다. 특히 군·경찰·소방·행정 등 사회 필수시설 운영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세심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하루 확진자가 수만 명 나오더라도 의료시스템이 붕괴되지 않고 정상적 사회 기능이 유지되려면 치밀한 준비가 선행돼야 한다. 지금도 늦은 감이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