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예부터 설·추석이 오면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한복을 입었다. 집안 경사에는 한복을 입어야 서로의 건강을 기념하고, 만남을 환영한다는 분위기가 더 커지곤 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한복은 점 차 설 자리를 잃었다. ‘특별한 날에만 입는 옷’, ‘불편한 옷’으로 낙인 찍힌 한복이 시대 변화의 옷을 입고 다시 폭넓은 사랑을 받을 수 있을까.
글_이연우기자 사진_ 한복진흥센터 제공
한복은 여러 가지 염색 통해 원색의 아름다움 살리는 옷
한복은 키가 작고 하체가 큰 한국인의 체형을 고려한 복장이다. 특히 여자 복식(服飾)의 경우 몸매를 좀 더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강조하는 형태가 많았다. 저 고리와 치마 비율에 따라 키가 작은 여성을 더 크게 해 보이는 등 체형 보완의 역할이 컸다. 여기에 족두리 등 장신구를 통해 미(美)를 추구하기도 했다.
한복은 여러 가지 염색을 통해 원색의 아름다움을 잘 살리는 옷이다. 평상시엔 흰색이 기본이지만 의례에 따라 채색이 있는 옷을 입으며 격에 맞는 정서를 표현했 다. 주로 사계절에 따라 색과 부피가 정해진다. 봄에는 벚꽃색, 가을에는 단풍색 등이 주로 쓰이는 식이다. 아 이들이 입는 색동저고리는 상대적으로 화려한 색감이 많은데, 이는 앞으로 활달하게 미래의 동량으로 무럭무 럭 성장하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세월이 흐르며 한복은 설 자리를 잃기 시작했다. 개량 한복을 통해 현대화한 자켓이나 셔츠, 바지 형태로도 많이 제작됐지만 '특별한 날에 입는 옷'이라는 인식 은 크게 변하지 못했다. 양복에 비해 활동성을 제 약하고 거추장스럽다는 인식이 높았다.
더위·추위 약하다는 편견도 한몫 했다. 사실 한복 은 명주실로 원단을 짜고 삼베나 모시 등을 활용, 솜을 빼거나 덧대는 방법 등으로 어느 때에도 무 리 없이 입을 수 있는 옷이지만 ‘디자인이 다양하 고 착복이 간편한 양복을 입는다’는 사람이 점차 많아졌다.
“한복문화주간 … 메타버스 활용한 비대면 한복 행사 등 확대해야”
최근엔 K-컬쳐가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한복 에 대한 관심이 덩달아 높아졌다. 한복 제2의 전성 기를 기대하며 전국에선 한복 부흥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수원 화성행궁과 용인민속촌, 전주 나 서울 북촌 등 한옥마을 관광지에선 한복을 입고 방문하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지난 해 충남 아산에선 한복 전시·판매 플리마켓 이 열렸고, 경남 밀양에선 한복 온라인 패션쇼 가 진행됐다. SNS에서도 한복을 입고 촬영한 사진을 올리는 등 ‘반짝’ 한복 붐이 일었다.
하지만 한복 업계의 회생을 기대하기엔 갈 길이 멀다. 무엇보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결혼식 등 행사가 대거 취소돼 한복 수요는 대폭 줄어 든 상황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한복업체는 300 여개에 불과하며, 이 중 97%가 코로나 여파로 매출이 감소했다. 경기도에서도 15~20년 업력 을 가진 업체들은 무너지고, 5년 이하의 신생 업 체만 생겨나는 추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해마다 한복문화주간을 지정하 고 메타버스를 통한 비대면 한복 행사 등을 추진키 도 한다. 업계에선 이 같은 노력을 통해 한복이 더 트렌디해지고, 더 글로벌해져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복진흥센터 관계 자는 “한복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온·오프 라인 프로그램을 마련해 젊은 세대들이 한복의 가 치와 아름다움을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길 바란다” 며 “이를 통해 K-한복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가 는 날이 오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