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증하는 오미크론, 철저한 대비책만이 답이다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코로나19가 드디어 하루 확진자 3만명을 넘었다. 6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만8천691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달 26일 1만명을 넘어선 후 12일 만에 벌써 3.5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의 예측에 의하면 3월초에는 10만명을 넘어 17만명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가의 경고는 그동안 정부의 예측이 빗나갔음을 말해주고 있다. 정부는 불과 열흘 전만해도 유행의 정점을 3만명 선으로 전망하면서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했는데, 결국 정부의 예측이 엇나간 것이다. 정부의 예측 착오로 인한 준비 미흡 때문에 폭증하는 코로나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은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금요일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을 오후 9시로 제한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 두기를 2주 연장하는 조정안을 내놓았다. 동시에 정부는 “의료체계 여력, 최종 중증화율·치명률 등을 평가하면서 계절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 가능성을 본격 검토한다”고 했다.

이는 코로나 확진자가 늘더라도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위중증 환자가 200명대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일상회복의 단계를 밟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영국 등 외국사례를 보면 일상회복 단계를 준비하는 것도 이해는 되지만, 그러나 대비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일상회복’ 언급은 자칫 방역체계의 긴장감을 흐리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염려된다.

정부는 코로나 폭증에 따른 준비를 더욱 철저하게 점검, 보완책을 강구해야 된다. 특히 오미크론 대응의 핵심인 동네 병·의원 중심의 진단·진료체계 전환은 아주 부진한 상태다. 참여 의료기관은 목표치에 크게 미달하는 30% 정도이기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병원 대신 선별검사소로 가는 등 여러 가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12만명을 넘어선 재택치료자 관리에도 의료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환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보건소나 병원으로부터 아무런 연락도 없이 무작정 집 안에서 기다리는 환자들이 너무 많다. 이는 오미크론 폭증으로 예견된 상황임에도 정부의 안일한 대책으로 빚어진 방역 난맥상이다.

더욱 정부가 철저하게 준비할 것은 코로나 폭증에 따른 사회기능 마비에 대비한 업무지속계획 수립이다. 정부는 격리자가 늘더라도 의료·치안·소방·교육 등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업무지속계획을 내놓겠다고 지난달 예고했지만, 오미크론 점유율이 90%에 이른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정부 발표는 없다.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코로나 감염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정부는 ‘일상회복 가능성’을 논하기에 앞서 오미크론 폭증에 따는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 실행해야 된다. 안이한 대처는 자칫 대형 국가 리스크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