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통령 윤석열] 여소야대 정국 첫 시험대는 ‘협치’

尹 당선인, 거대 野와 협력 절실...합리적 성향 인사 중용 가능성
安과 통합정부 구상도 선보여야, 불협화음땐… 새정부 부담으로

향후 5년 간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제20대 대통령으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여소야대 정국을 어떻게 이끌어 갈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막판까지 대장동 특혜개발 의혹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인 터라 윤 당선인이 내세운 ‘협치’가 바로 실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민주당의 현재 의석은 172석이며, 민주당 성향 무소속 의원 등을 합하면 180석에 가깝다. 국민의힘은 대선과 함께 치뤄진 5곳 국회의원 재·보선 중 안성을 포함해 4곳(1곳은 무소속)에서 승리를 거둬 110석이 됐고, 국민의당(3석)과 합당을 해도 113석에 불과하다.

윤 당선인은 선거 과정에서 “민주당내 양식 있고 양심적이고 합리적인 정치인들과 협치해 국민통합과 경제발전을 이루겠다”고 밝혀왔고, 10일 당선 인사에서도 “의회와 소통하고 야당과 협치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민주당이 대선 승패와 관계없이 ‘대장동 특검’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숫적인 우위를 내세워 이를 강행할 경우, 대선 이후 정국이 급랭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윤 당선인도 적폐 수사를 본격화 할 경우, ‘정치보복’이라고 주장하는 민주당의 반발이 만만치않을 전망이다. 일단 야당과의 협치는 민주당이 선거 패배 후유증을 수습한 뒤 본격적인 대화의 물꼬가 터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에서는 6월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윤 당선인과 민주당이 각각 무리하게 적폐청산에 나서거나 대장동 특검을 밀어부칠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다.

국민의힘 선대본부 관계자는 야당과의 협치와 관련, “윤 당선인이 여소야대를 감안해 인수위원장 임명과 국무총리 인선 등에서 민주당도 반대하기 힘든 합리적 성향의 인사를 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또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후보 단일화 때 밝힌 ‘미래지향적이고 개혁적인 국민통합정부’ 구상도 선보여야 한다. 원팀을 이룬 윤 당선인과 안 대표는 ‘인수위 구성부터 공동정부 구성까지 함께 협의하고, 정파에 구애받지 않고 정치권에 몸담지 않은 인사들까지 포함해서 도덕성과 실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등용하겠다’고 피력한 바 있다.

하지만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간 합당이 보수와 중도가 힘을 합해 외연을 넓히려는 의도와는 달리 역풍도 적지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돼 호흡이 잘 맞을 지 우려도 제기된다. 두 당의 합당과 인사 협의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나올 경우, 순조로운 출발을 원하는 윤 당선인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양당 간 갈등은 지방선거 공천과정에서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중앙당 차원에서 하는 광역단체장 공천뿐만 아니라 시·도당에서 하는 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공천을 놓고 경선이냐 전략공천이냐 등을 놓고 원만한 협의가 이뤄질지가 문제다.

현재 국민의힘은 경기도당위원장과 인천시당위원장을 김성원(재선, 동두천·연천)·배준영 의원(초선, 중·강화·옹진) 등 현역 의원이 맡고 있는 데 비해 국민의당은 화성시의원으로 화성을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는 구혁모 당 최고위원이 도당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고, 이현웅 전 총선 비례대표 후보가 인천시당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