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한강변 도시개발사업 관련, 대장동 사업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상반기 중 본격화하기로 했다.
최귀영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일각에서 한강변 도시개발 사업에 대해 성남 대장동사업과 비교, 정치쟁점화하고 있으나 사실무근”이라면서 “해당 사업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프로젝트로 일자리와 주거가 융합된 디지털경제 구조”라고 밝혔다.
특히 대장동 사업은 인·허가가 성남시장 권한으로 가능했으나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은 개발제한구역(GB) 해제와 맞물려 국토부나 경기도가 인·허가 권한을 갖고 있어 구리시가 임의로 추진할 수 없고 도 도시계획위원회 및 국토부 등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 대변인은 대장동 사업과의 차이점으로 ▲도시개발법에 따른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 ▲공모를 통한 민간사업자 선정 ▲공공기여 명문화(초과이익 환수) ▲수익이 발생하지 않거나 적자 경우, 공공 책임 면제 등의 장치를 들었다.
최 대변인은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은 한국판뉴딜 정책을 연계해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생활인프라 강화 등 세개를 축으로 디지털경제 성공모델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4조원을 들여 한강변 150만㎡에 디지털과 기후위기 대응, 그린뉴딜 등을 융합한 AI플랫폼 기반 스마트시티 조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구리=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