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단골 손님 R&D 사이언스 파크, 수원특례시 재시동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조감도. 경기일보DB

오는 6월 지방선거 수원특례시장 후보군의 단골 소재가 된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이 가시화될지 여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후보군이 앞다퉈 이를 실현하겠다고 공언한 상황에서 시는 그동안 발목을 잡았던 개발제한구역 해제뿐만 아니라 사업성 향상 모색까지 함께 진행, ‘8년 답보’라는 꼬리표를 떼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4일 수원특례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4년부터 권선구 입북동 일원 35만7천㎡에 IT·BT 분야 연구집약시설을 조성하는 내용의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을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 중이다. 2천300억원을 투입해 낙후된 서수원 지역 발전과 더불어 약 1조6천억원의 경제 효과를 노리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전체 면적의 98%인 35만㎡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했다. 지난 2017년 재산권 침해를 주장하는 광교상수원보호구역 주민들이 입북동( R&D 사이언스파크)일원에서만 이 같은 절차가 이뤄지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반발했기 때문이다.

이러는 동안 관련 법령 등이 바뀌면서 시는 지난해 3월 국토교통부와의 협의에 따라 입안 절차를 다시 밟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 2014년 10월 완료한 지방행정연구원(500억원 이상 사업 대상) 재심의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해 7월 자체 타당성 조사(경기일보 2021년 5월24일 2면)를 진행했으나 3개월 뒤 이를 일시 중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등 관련 기관의 의견에 따라 사업성을 높일 만한 토지이용계획도 등 세부사안의 변동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시는 보안상의 이유로 구체적인 내용을 함구 중이다.

이와 동시에 시는 30만㎡ 이상 등 대규모 개발 사업 추진 시 거쳐야 하는 그린밸트 해제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재차 준비하고 있다. 지난 2016년 8월 해당 절차를 완료했음에도 환경영향평가법상 5년 이내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지 못해서다. 현재 이와 관련한 초안을 작성 중인 시는 추후 주민 의견을 듣고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국토부에 정식 요청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사업성 향상과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투트랙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언제 이를 완료할지 예단하긴 어렵다”면서도 “이와 관련한 시민 관심이 큰 만큼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을 무리없이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상회 전 청와대 행정관, 김희겸 전 경기도 행정1부지사, 이재준 전 수원시 제2부시장, 조명자 수원특례시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후보들 및 강경식 국민의힘 경기도당 부위원장 등 국민의힘 수원특례시장 후보들이 해당 사업의 조속한 착공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