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백제 외 역사문화권 확장...한반도 숨은 비밀 밝혀지나

“마한史 필두로 문화유적 키우자”

image
(참고 사진)경기도박물관이 지난해 10월31일까지 진행한 특별전 '경기, 마한·백제'에서 선보여진 유물들. 화성역사박물관 모듬. 경기도박물관 제공

아직 밝혀지지 않은 한반도의 숨은 비밀이 ‘역사문화권 확장’을 통해 조명될 전망이다.

 

특히 매 시대 한국사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경기도에선 고대국가 마한(馬韓)을 토대로 백제는 물론 후삼국시대를 갈음하는 유·무형의 지역정체성이 추가 형성될 수 있어 귀추가 모인다.

 

11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6일 ‘제1차 역사문화권 정비기본계획(2022~2026)’에 대한 수립 및 시행 보고를 마쳤다. 이는 올해 7월 시행되는 역사문화권정비법 개정안에 대비, 보다 광역적인 운영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역사문화권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 등 6개로 구분돼 왔다. 하지만 강원도를 중심으로 하는 ▲예맥과 충청권 위주의 ▲중원이 추가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이번 개정안이 탄생했다.

 

문화재청은 역사문화권이 확장됨에 따라 그 기반을 탄탄히 구축하기 위해 본 1차 계획을 세웠다. 지역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면적 정비개념을 구체화하고 지자체간 연계협력을 통한 정비모델을 구현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기존에 역사문화권역이 명칭에만 매몰돼 독점적·배타적으로 추진되던 사업들을 조정하고, 둘 이상의 역사문화권이 인접 또는 중첩됐던 구역을 하나로 지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쉽게 말해 ‘백제 문화권’이라고 해서 경기도만 연구에 나설 게 아니라 충청도도 함께 할 수 있게 된 셈이다.

image
(참고 사진) 문화재청의 '제1차 역사문화권 정비기본계획(2022∼2026)' 자료에 담긴 기존 역사문화권의 유적분포 등 관련 자료. 문화재청 제공

아울러 최근 후백제를 필두로 후고구려 역시 별도의 역사문화권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정부는 기본계획에도 이를 폭넓게 담기로 했다. 예맥·중원은 물론 향후 법 개정으로 추가되는 역사문화권도 정비사업 대상에 포함한다는 내용이 들어갔다. 이를 통해 새로운 역사문화권이 각각 조사·연구·발굴·복원·보존 작업을 진행하며 정부의 다각적 지원도 동반될 것으로 보인다.

 

의미 있는 부분은 서울·경기·충청 영토에 존재했던 마한(기원전 1~3세기) 문화권이다. 현재 김포 등지에서 마한 유적이 확인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원의 예(맥) 유적이 발견된다면 두 국가의 연관 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고 ‘베일에 싸인 국가’로 역사적 가치가 드러나지 않았던 마한 유적을 연구해볼 수 있다.

 

김기섭 경기도박물관장은 “마한을 통하면 대한민국 역사 전체를 살필 수 있다. 그러나 그간 마한의 역사가 어떻게 백제에 흡수됐는지 등 관련 연구는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며 "마한은 현 행정구역을 넘어서야 진면목을 만날 수 있는 곳인데 (이번 역사문화권 정비기본계획을 통해) 경기도를 비롯한 여러 지역들이 통합적으로 유적을 찾아 나설 기반이 마련된다면 중세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학문적 관심이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