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전기차는 23만대가 보급됐다. 경기도내 전기차는 2018년 6천383대, 2019년 1만1천750대, 2020년 2만477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앞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등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전기차 보급이 증가한 가운데 전기차 관련 소비자 불만이 크다. 소비자 수요나 정부의 전기차 보급 의지에 비해 차량 이용 편의가 충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충전소만 해도 많이 늘었지만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다. 관리가 안돼 ‘무늬만 충전소’인 사례도 있어 운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장애인들에게 전기차 충전소는 무용지물이나 다름 없다. 충전기가 너무 높게 설치됐거나, 주차면이 좁아 휠체어 장애인의 이용이 어렵다. 교통약자인 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없어 이동권이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와 한국전력공사, 민간 등이 설치한 도내 충전소는 모두 2만2천503개다. 이 중 교통약자 배려형은 수원·성남·안산 등 7개 시군에 11개에 불과하다. 교통약자 배려형(폭 3.3m, 세로 5m)은 일반주차구역 면적(폭 2.2m, 세로 5m)보다 넓어 장애인과 같은 휠체어 이용자가 차량에서 내리기 쉬운 시설이다. 충전기 터치스크린 높이도 일반형(160㎝)보다 낮게 해 휠체어에 앉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됐다.
그러나 이런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충전소는 전체 시설의 5%에도 못미친다. 장애인들은 교통약자 충전소 숫자도 적고 찾기도 힘들어 일반형 충전소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누군가 도와주지 않으면 일반 전기차 충전소는 이용이 어렵다. 문제는 일반 주유소와 달리 충전소는 모두 무인으로 운영된다. 이는 장애인은 전기차를 타지 말라는 것이나 다름없다.
경기도는 앞으로 계획한 충전소 물량의 최대 30%를 교통약자 배려형으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언제 실현될 지 모르는 일이다. 그 이전에라도 장애인을 위한 상주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충전 수요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거동이 불편하지 않은 장애인을 고용하면, 일자리 창출과 편의 증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전기차 충전소의 장애인 불편은 경기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의 다른 자치단체들도 마찬가지다. 정부와 지자체는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전기차 충전소 지침을 마련하고, 충전소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 그 전까지는 공공근로자를 배치해서라도 불편을 덜어줘야 한다. 충전소의 사후관리도 철저히 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