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의 연희(演戲)가 펼쳐진다. 코로나19로 잠시 멀어졌던 신명나는 장단과, 잔잔한 명상의 시간이 다시 무대에 오를 채비를 하고 있다. 우리 음악의 무한한 가능성을 선보이는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예술감독 원일)가 올 하반기 관객과 직접 마주하기 위해 다채로운 공연을 준비 중이다. 원일 감독을 만나 올해 경기시나위 공연을 미리 엿봤다.
공연 일정부터 소개하면 첫 번째로 이달 20일~21일 레퍼토리 시즌제의 일환인 <장단의 민족 시즌1: 바우덕이 트랜스포머> 공연이 펼쳐진다. 안성시립남사당 바우덕이풍물단과 함께 ‘풍물오페라’라는 최초의 장르를 꾸린다.
이어 6월11~12일엔 <사계(四季)의 노래>, 9월9~23일엔 폴란드·헝가리·오스트리아 등 유럽 현지 투어에 나선다. 10월22일엔 경기시나위의 정체성이자 자부심인 <시나위 일렉트로니카 Ⅱ: Trance>, 12월 2~3일엔 <반향: 묵(默)>의 막이 열린다.
원일 감독은 “아무리 영상의 시대여도 소리를 진동으로 느끼고 박수·환호를 마음껏 지를 수 있는 곳은 현장의 공연장”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제약이 조금씩 풀어지는 이때, ‘드디어 왔구나’ 하는 해방의 마음으로 공연장을 찾아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는 10~20대에겐 <일렉트로니카>를, 30~50대에겐 <사계의 노래>와 <묵>을 추천했다. 전 세대 가족과 어우러져 볼 수 있는 건 <장단의 민족>이라 권했다.
원일 감독은 “경기시나위의 장점이자 단점은 단원들의 적극성이다. 모든 공연이 단원 저마다의 창작 영역에 달려있어 언제나 새로운 동시에 재연성이 일정하지 않다”며 “저는 이 부분을 장점으로 해석한다. 어디서도 보지 못한 유쾌한 무대에 관객분들도 참여해달라”고 웃으며 말했다.
다양한 시도와 실험을 하는 가장 한국적인 오케스트라답게, 이번 하반기 공연들도 고정관념을 탈피한다. 먼 과거 고전적 의미의 ‘작곡’은 신의 목소리이자 엄명이고, 이를 풀어내는 게 지휘자였다면 경기시나위적 ‘작곡’은 민족음악의 현대화를 즉흥으로 풀어내는 우리네 흥이다. 유럽투어가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원 감독은 “작곡이 작곡자와 지휘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연주자의 창의성과 역량에 달려있다는 것이 우리만의 큰 특징이다. 세계에서도 큰 특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올해 모든 공연에 그런 요소들이 녹아있어 더욱 떨린다. 마침내 현장 무대에서 펼쳐지는 국내·외 경기시나위 공연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