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선거판에 뛰어든 전 고위간부들

6·1 지방선거를 불과 2주 남겨 놓고 인천시장 후보들은 상대 후보를 네거티브로 공격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인다. 4년 전에 맞붙었던 전 현직 시장의 리턴 매치로 서로의 치적에 대한 열띤 공방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빙의 승부를 예상해 선거전이 어느 때보다도 뜨겁다. 가장 치열하게 공방을 벌이는 이슈가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문제이다. 이미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여야 후보가 대선공약으로 반영해 조기 종결을 기대하는 시민들에게는 의아한 모습이다.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문제는 인천의 최대 현안 이슈임은 분명하다. 30여년 동안 일방적으로 인천이 희생을 감수하면서 수도권의 쓰레기를 처리한 것에 대한 획기적인 정책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민선 7기 박남춘 시장은 정부의 ‘직매립 금지 및 발생지 처리원칙’이라는 환경정책 변화에 따라 수도권 쓰레기 조기 종료를 통한 ‘쓰레기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의 실천을 위한 첫걸음으로 인천시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며 대선공약에도 반영했다.

이러한 진행 과정에 인천시장 선거전에서 전 현직 시장의 과거 치적 공방에서 서로의 정책실패를 지적하는 논쟁에 느닷없이 전 환경국장들이 등장했다.

국민의힘 유정복 후보를 지지하고 나선 전 환경국장 6명의 재직 기간이 매우 다양하고 각 후보와의 근무 기간도 다르다. 그런데도 일방적으로 한 쪽의 입장을 지지하는 것은 일반 시민으로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주장이다.

인천시 행정의 최고위직으로 막중한 책임을 지고 합리적으로 최선을 다했으리라 믿는 시민으로서는 의아하기 그지없는 모습이다. 재임 중에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을 정점으로 일사불란하게 추진하고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았으리라 믿는다. 다소 의견의 차이가 있어도 충분한 논의와 협의를 걸쳐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추진하는 것이 현대 지방행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위직으로 고도의 지방행정의 복잡성과 전문성, 그리고 정치성까지도 이해해야 하는 처지기 때문이다.

막중한 책임을 지고 행정을 책임졌던 당사자라는 점에서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당사자로서 현직에서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것에 대한 사과가 우선돼야 그 진실성이 있는 것이다. 공무상 취득한 정보를 선거에 악용하며 공직 후배들의 정책 구상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은 지탄받아 마땅하다. 건전한 아이디어와 정책을 경쟁적으로 제시하며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바지하는 명예로운 전직 고위직의 헌신을 기대해 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