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구 칼럼] 이재명·김동연, 그들은 곧 경쟁자다

흙수저 전설, 경기도에서 충돌
인사·정책마다 ‘경쟁’ 분석될 것
한 연못, 두 잠룡(潛龍) 못산다

-2006년 6월 어느 날이다. 손학규 지사와 앉아 있다. 퇴임하는 그를 찾은 자리다. 그가 걸려온 전화를 받는다. “그래, 팔당호 준설 아주 좋은 거야. 나도 해보려고 했는데. 열심히 해” 상대는 도지사 당선인 김문수다. 더 없이 다정한 말투가 생생하다-. 그 뒤, 둘은 갈라섰다. 대선이 둘을 갈랐다. 내게 남은 짧고 강한 추억이다. 경기도지사들의 퇴임 후가 그랬다. 친했다가도 대선 가면 갈라섰다. 이인제와 손학규, 손학규와 김문수, 김문수와 남경필....

이제 그때 그 경기도가 아니다. 정치적 무게가 엄청 커졌다. 정치적 색깔이 분명해졌다. 전국이 윤석열 후보를 지지했다. 서울도 5%p 넘게 쏠렸다. 하지만 경기도는 전혀 다른 5%p를 택했다. 석 달 뒤 선거에서 또 그랬다. 전국이 국민의힘 일색이었다. 이번에도 경기도는 홀로 민주당이었다. 독립한 1천300만의 표밭이다. 그때는 이런 힘도 없었다. 경선에서 떨어지고, 대권 근처도 못 갔다. 그런 경기도를 두고도 서로 경쟁했다. 이제 더 할 거다.

김동연 당선인이다. 호남·제주를 뺀 유일 민주당이다. 선거 기간 내내 조명을 받았다. 개표는 차라리 9시간짜리 드라마였다. 5천만 시선을 붙잡은 이벤트였다. 기다렸다는 듯 등장한 기사가 있다. ‘김동연=대권’이다. ‘차기 대권주자로 발돋음 했다’고 썼다. 예상되는 다음 기사가 있다. 차기 대권 후보 선호도 기사다. 어느 기관, 어느 언론이 곧 발표할 거다. 아마도 ‘김동연’이 쑥 올라가 있을 거다. 거기 따라붙을 기사는 이런 거다. ‘김동연 급부상.’

불쏘시갯 거리가 많은 그다. 불 타 오를 재료가 많다. 충청도 출신도 그 중 하나다. 대권에 캐스팅 보트 지역이다. 준비된 충청 대망론이다. 여기에 흙수저 시절이 극적이다. 상고를 졸업한 은행원이었다. 일하면서 입법고시, 행정고시에 붙었다. ‘이생망’엔 더 없는 꿈이다. 나라 경제를 큰 틀에서 책임졌다. ‘경제’를 소망하는 유권자 기대에 맞는다. 이런 그가 경기도에서 기회를 찾은 듯 하다. 강해진 경기도 정치를 품게 됐다. 듬직한 대권행에 올랐다.

이쯤에서 많은 이들이 생각한다. ‘그러면 이재명은?’, ‘이재명과의 관계는?’ 둘의 호칭은 같다. ‘이재명 지사님’이고 ‘김동연 지사님’이다. 안 그래도 닮은 꼴이었다. ‘이재명’도 지독히 가난했다. 공장에서 소년공으로 일했다. 중학교, 고등학교를 검정고시로 졸업했다. 야간 대학을 다니며 사법시험에 붙었다. 성남 재야에서 힘겹게 정치했다. 그의 행정도 늘 경제와 연결돼 있다. 대권 구호도 ‘경제 살릴 후보’였다. 대권행 경기호에 미리 올라타 있다.

둘 다 대권 후보라서 문제다. 모두 5년 뒤를 보고 있다. 모두 경기도를 안방 삼을 기세다. 이게 가능한가. 하나의 경기도에 두 잠룡이 가능한가. 단일화는 대선 패배로 끝났다. 승리한 단일화는 충돌하지 않는다.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을 각자 분점 한다. 패배한 단일화는 충돌한다. 원래로 돌아가 다시 경쟁한다. 이재명〈2022〉김동연은 패배한 단일화다. 2027년 대권에서 다시 붙을 경쟁자다. 1천300만 경기도의 주인을 가려야 한다. 이게 둘 앞에 놓인 정치다.

그래서였을까 ‘김동연 발언’ 몇개가 주목 받았다. “(김혜경씨 법카 의혹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언론이 ‘홀로 서기일지 모른다’고 썼다. 아니라고 해서 넘어갔다. “(김포공항 공약은) 토론 과정이 없어 문제다”. 언론이 ‘홀로 서기가 맞다’고들 썼다. 곧바로 투표날이어서 넘어갔다. 당선 후 발언이 있다. “당이 바뀌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혁신’ 얘기도 여러 번 나왔다. 언론은 이제 의심하지 않는다. 단정한다. ‘김동연 정치 시작’이라고 쓴다.

속내를 누가 알겠나. 언론도 짐작해 더듬는 것이다. 그럼에도 자꾸 그의 말을 받아 쓴다. 여기엔 언론이 깔고 있는 전제가 있다. ‘이재명 김동연은 경쟁할 것이다’ 또는 ‘둘은 언젠가 갈라 설 것이다’. 이런 잣대로 보니 자꾸 분석하는 것이다. 짐작컨대 이 잣대는 앞으로도 한참 갈 것 같다. 인사(人事) 때마다, 정책(政策) 때마다 등장할 것 같다. 둘의 인사가 어떻게 다른 지, 둘의 정책이 무엇이 다른 지 계속 분석할 것이다. 그런 게 언론이고 그런게 유권자다.

원치 않은 승부일 수 있다. 그러나 한 용소에 잠룡(潛龍)은 하나일 수 밖에 없다.

主筆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