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뭐했나” 道교육청, 급식실 건강권 보장 ‘시험대’

학교 급식종사자. 연합뉴스

학교 급식실이 ‘죽음의 급식실’이란 오명을 쓴 상황(경기일보 2021년 11월3일자 1·3면)에서 안전한 학교 급식실 조성을 추진하는 교육 당국이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 무엇보다 지난 1년간 실태조사 한 번 제대로 이뤄졌던 적이 없었던 만큼 현재 진행 중인 ‘환기시설 TF’ 논의에 귀추가 주목된다.

10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 5월부터 환기시설 설비 개선을 위해 ‘학교급식 조리실 환기설비 개선 TF’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TF는 도교육청 시설과, 학비연대 등 19명이 참석하고 있으며, 오는 8월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개선방안 논의와 함께 일부 환기시설이 열악한 학교를 대상으로는 시범 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해 5월 도내 학교 2천363곳을 대상으로 환기시설 등의 전수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작년 2월 수원 권선중에서 급식종사자로 12년간 근무하다 폐암으로 사망한 A씨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업무상 질병을 승인받은 후 3개월 만이었다.

하지만 해당 조사는 1차적으로 학교별 자체 점검이었던 데다 이후 환기시설 등이 개보수된 학교는 단 6.9%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현장에 있던 급식종사자들 중 일부는 “급식 업무가 다 끝난 뒤에 조사가 이뤄지거나 육안으로만 살폈다”며 실태조사의 허술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렇듯 튀김 요리 시 발생하는 조리흄으로 인한 폐암이 산재로 승인된 지 약 1년이 지났지만, 전문적으로 진행된 조사는 사실상 한 번도 없었던 셈. 도교육청은 지난해 12월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환기시설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후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인데, 이 때문에 환기시설 TF에서 어떤 결과가 도출될 지 이목이 집중된다.

성지현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장은 “학교 급식실 현장에선 조리흄으로 인해 폐암에 걸릴까 불안해서 일을 못하겠다는 이야기도 이미 공공연히 나온다”며 “시설 개선은 당연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환기시설 전면교체 등을 포함해 도교육청은 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작년에 진행된 실태조사는 사실 풍속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등 전문성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지난해 12월 발표된 고용노동부의 환기시설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실태 파악을 진행한 뒤 학교 급식실 현장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