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의회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78석씩 똑같이 나눠 갖는 이변이 발생했다. 여야 거대 양 당의 같은 의석수는 경기도의회 사상 처음이다. 정의당 등 소수정당은 득표율이 기준 5%에도 못미쳐 비례대표조차 배출하지 못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선 142석 가운데 민주당이 135석으로 압도적이었는데 4년 만에 완전히 달라졌다.
이로 인해 민선 8기 경기도의회는 모든 정책이 거대 양당에 의해 좌우될 전망이다. 여야 동석(同席)으로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 선출 등 원 구성부터 각종 조례와 안건 의결까지 사사건건 대립할 가능성이 커졌다. 조례와 안건 심의·의결과정에서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팽팽한 대결로 가면 집행부인 경기도도 정책 추진이 어렵다. 민주당 김동연 당선인이 이끄는 경기도정에 험로가 예상된다. 김 당선인의 정치개혁에 대한 의지와 협치를 위한 정치력 또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당장 7월부터 시작되는 제11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의장을 두고 갈등을 겪고 있다. 국민의힘에선 3선의 김규창 의원(여주2)이, 민주당에선 4선의 염종현 의원(부천1)이 도의회 의장에 도전장을 냈다. 투표를 하면 양 당의 득표수가 같게 된다. 현행 도의회 규칙은 결선투표에서 득표수가 같으면 연장자를 당선자로 규정하고 있다. 지금 상황에선 김규창 의원이 의장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10대 도의회 다수당인 민주당이 마지막 회기에서 의장선출 관련 규칙에 ‘최다선’ 삽입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과 부산 등 광역의회에선 ‘최다선’을 ‘연장자’보다 의장 선출의 우선 순위로 두고 있어 규칙을 개정하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11대 도의회 첫 시작을 10대 도의회가 정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규칙 개정을 반대하고 있다.
양당은 의장 선출부터 협치를 해야할 상황이다. 도의장은 양당이 전·후반기를 나눠서 하면 된다. 현 규칙대로 국민의힘이 먼저 맡는게 맞다. 도의회의 여야 동석은 협치를 얼마나 잘하는지 보여줄 수 있는 기회다. 도민들이 주목하고 있다.
경기도의회처럼 기초의회도 양주와 고양, 하남, 김포, 포천 등 5곳이 여야 동수다. 이들 지방의회도 의장단 구성부터 팽팽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의회의 여야 동수는 얼마만큼 협치를 하느냐가 관건이다. 사사건건 부딪힐 경우 갈등과 혼란이 끊임없이 발생, 그 피해가 고스란히 지역주민에게 돌아가게 된다. 반면 조금씩 양보하고 수용하면서 협치를 이뤄 나간다면 진일보한 민주주의 상을 보여줘 주민의 신뢰를 얻게 될 것이다. 협치가 시험대에 올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