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PHOTO경기] 새 정부 출범, 달라진 부동산 시장
PHOTO경기

[PHOTO경기] 새 정부 출범, 달라진 부동산 시장

image
매매 매물이 늘어난 경기도 부동산 시장. 경기일보DB

윤석열 정부가 본격적으로 출범하면서 경기도 부동산 시장에 커다란 바람이 불고 있다.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1기 신도시를 주축으로 집값이 들썩이는 한편,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관망세가 이어지는 분위기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5월18일 기준 1기 신도시 시가총액 상승률이 서울 재건축 단지의 시가총액 상승률을 넘어섰다. 올해 4월 말 기준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 1기 신도시 아파트 시가총액은 145조7천663억원으로 2월 말(145조2천789억)보다 약 0.3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 재건축 단지의 시가총액 상승률은 0.20%(244조211억원→244조6천948억원)로 1기 신도시 아파트 시가총액 상승률에 미치지 못했다.

image
1기 신도시 시가총액 변화. 연합뉴스

하지만 이 같은 기조로 새 정부의 부동산 핵심 공약인 재건축 안전진단 완화 방안이 내년으로 미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가 규제 완화의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국회인사청문회에서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규제 완화는 신중하고 정교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윤 정부의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시행으로 경기지역 아파트 시장에 매물도 급격히 늘고 있다. 양도세 중과가 풀린 5월10일부터 1년 내 팔기 위해 매물을 내놓고 매수자의 반응을 지켜보려는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실제로 경기도 아파트의 매물은 양도세 완화 시행 전이던 전날(5월9일) 10만7천742건에서 이날(10일) 기준 11만6천783건으로 불과 9일 만에 8.4%가량 늘었다.

하지만 실제 거래로 연결되지는 않는 모습이다. 강력한 대출 규제가 작동하고 있는 데다, 미국의 빅스텝 단행 등으로 우리나라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예상되는 만큼 매수세가 폭발적으로 늘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6월1일 이후 처분하지 못한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다시 거둬들이면서 연말까지 소강상태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집값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완급조절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규제가 완화돼야 공급가뭄이 해소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서진형 공동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시행령이나 행정명령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은 하루빨리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법 개정 사항들은 다수당과 협력 방안들을 마련해 시장 정상화 방안들을 시급히 마련해야 될 것으로 본다”고 제언했다.

글_한수진기자

사진_경기일보DB, 연합뉴스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