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호(號)와 국민의힘 협치가 일단 실패했다. 국민의힘 측에서 인수위 참여를 사실상 거부했다. 협치 논의의 시작은 7일 김동연 당선인의 제안이었다. 국민의힘 경기도당을 방문한 자리에서 제시됐다. ‘국민의힘 추천 인사를 인수위에 참여시키겠다’고 했다. 이에 김성원 도당 위원장이 수락하면서 큰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추천은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불참 의사가 확인됐다. 활동에 시한이 정해진 인수위다. 인수위 차원의 협치는 없던 일이 된 듯 하다.
당선인 측 입장은 ‘계속 기다리겠다’다. 염태영 공동인수위원장이 자세히 설명했다. ‘도정의 파트너로서의 국민의힘 참여를 기다릴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을 위해 비워뒀던 인수위 자리에 대해서도 “국민의힘 쪽에서 참여하지 않는다고 (당장) 자리를 채우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협치를 위해 배려된 상징적 공간으로 계속 두겠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국민의힘 도당 입장이 바뀔 가능성은 없다. ‘비워진 협치’로 그대로 갈 것 같다. 이 모든 게 당선인의 뜻일 게다.
모든 게 도민 앞에서 이뤄졌던 공적인 약속이다. 도지사 당선인이 제안했고 공당의 도당 대표가 받은 합의였다. 적어도 약속이 깨진 책임 소재는 짚어보고 갈 필요가 있다. 적어도 지금까지 드러난 모습으로 보면 국민의힘 경기도당의 잘못이 크다. 구체적 토론 없이 덥석 받은 것부터 잘못이다. 그렇게 받았으면 이행했어야 하는데, 깼으니 또 잘못이다. 도당 내부의 복잡한 사정이 흘러 나온다. 그래도 약속 파기 책임은 마찬가지다. 무슨 일을 이렇게 하나.
그럼에도, 이 문제를 파고 들 생각 없다. 어차피 도민 삶과 거리가 있는 정치 협치였다. 우리가 주목한 건 당선인 측의 다른 언급이다. 정치가 아닌 정책 협치의 가능성을 설명한 부분이 있다. 염 위원장이 이날 브리핑에서 공통 공약 추진 가능성을 말했다. “국민의힘이나 대선 때 나온 경기도 공약을 연대와 협치 특위에서 모으고 있다”고 했다. 31개 시군에서 나왔던 공약도 검토 대상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정책 협치에 대한 가능성을 밝힌 것이다.
경기도 정치는 여의도 정치와 다르다. 지역민에 맞게 특화된 정치다. 협치의 대상도 당연히 다르다. 중앙 협치가 권력의 공유라면, 경기도 협치는 행정의 공유다, 앞서 우리는 ‘김은혜 공약’의 과감한 수용, ‘김은혜 정책입안자’의 과감한 기용을 얘기했었다. 만일 당선인 측이 ‘협치 포기’를 선언했다면 이런 주문은 의미 없어진다. 그게 아니라 ‘계속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라니 기대를 말하는 것이다. 정치협치보다 훨씬 도민에 와닿을 정책협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