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의 연구활동 학습공동체-道교육연구회] 52. 노벨 엔지니어링 교육연구회

독서·과학 결합… ‘융합인재교육’ 수업 개발·실천
책 속 주인공 문제점 파악 후 해결책 만들어... 새로운 결말까지
지루한 독서·맥락 없는 공학활동 탈피... ‘살아있는 교육’ 운영

image

경기도 노벨 엔지니어링 교육 연구회(이하 NE 연구회)는 지난해 도 지정 연구회로 선정돼 독서와 공학을 융합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STEAM 수업을 개발·실천하고 있다. 노벨 엔지니어링은 미국 텁스 대학교(Tufts University)의 부설 CEEO에서 비롯된 융합 수업 모델이다. 학생들은 책을 읽고 주인공이 처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직접 만들어 본 후 새로운 결말을 쓰는 과정을 경험한다. 지루한 독서나 맥락 없는 공학 활동에서 벗어나 살아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현장 교사들의 열의가 매우 뜨겁다. 이에 NE 연구회의 연수 프로그램이 서울시교육청 ‘우리학교 연수원’에 정식 과정으로 채택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NE 연구회는 학생들을 위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해보며 질 높은 융합 교육에 대한 꾸준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 다문화 교육, 생명존중 교육 등의 주제별 수업과 기초 공작 활동, AR/VR, SW/AI 등의 공학 도구를 활용한 수업을 다양하게 개발했으며 이를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 5월23일에는 회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밖 전학공의 날’을 온라인으로 개최해 연구회 회원 및 관심 있는 교사 등 총 20명이 참여했다. 노벨 엔지니어링의 이해 및 현장 확산 도모를 위한 연수가 진행됐으며 다양한 수업 사례와 팁을 공유하며 노벨 엔지니어링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또 ‘지구를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이라는 주제의 수업 아이디어 공모전이 지난달 30일까지 진행됐다. 공모전은 교육과 기술로 환경을 지키는 사회적 기업 ‘에코플레이’와의 협업 형태로 진행됐으며 환경과 생태를 위한 교구 지원으로 선생님들의 수업 혁신을 도모했다. 공모전을 통해 생태교육을 주제로도 다양한 융합 수업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다양한 주제의 융합 교육, 책을 활용한 STEAM 교육에 목마름을 가진 선생님들께 단비처럼 작용하기를 기대해 본다.

김다은 연수운영팀장(군포 광정초 교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