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신·증축 불가능 호소에...市, 토착기업 어려움 ‘해결사’ 최근 해당 부지 ‘매각설’ 논란...경영진 접촉 조차 기피 ‘황당’ 회사 관계자 “경영적자 늘어”
부천시기 적극행정으로 토착 기업의 공장 신·증축문제를 해결해준 가운데, 최근 부지매각설이 나와 ‘먹튀(먹고 튀기)’ 논란이 일고 있다.
10일 부천시와 신한일전기㈜ 등에 따르면 해당 기업 부천공장은 지난 1968년 10월 등록, 현재 송내동 24번지 부지 2만4천569㎡ 중 제조시설 면적 1만4천31㎡ 규모로 연매출 180억원(지난해 기준)에 직원 200여명을 고용 중인 토착 기업이다.
해당 기업은 지난 2005년부터 공장부지 일부가 주거지역용도여서 기존 건축물은 재축만 가능, 공장 신·증축이 불가능, 고충을 제기, 시는 지난 2012년부터 본격적인 규제개혁 방안을 중앙부처와 수차례 협의, 지난 2014년 행안부 주관 경기지역 규제개혁 안건으로 채택되는 등 적극행정으로 지난 2015년 해당 기업과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공장 증·개축문제를 해결해줬다. 신한일전기 측은 이후 지난 2016년 제조시설(공장) 1만4천31㎡를 증축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최근 해당 기업의 공장부지 매각설·공동주택 개발설이 나오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는 사태 파악을 위해 해당 기업 경영진과의 수차례 접촉을 시도하고 있지만, 신한일전기 측이 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각에선 해당 기업의 공장부지 매각과 사업장 폐지는 먹튀라는 지적이 나온다.
신한일전기㈜ 관계자는 “최근 경영이 어려워 적자 폭이 커진 건 사실”이라며 “경영진이 결정한 사항이어서 자세한 내용은 말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최근 신한일전기 측이 공장부지를 매각한 사실을 전해 듣고 황당했다. 시 입장에선 토착 기업 상생을 위해 노력했는데 매각 전 시와 어떤 협의도 없어 서운하다”며 “사태 파악을 위해 경영진과 수차례 접촉을 시도했지만, 연락이 되질 않았다. 최근 적자가 누적돼 기업경영이 어려워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고 계속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