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떠난다’ 소문 도는 부천 신한일전기/40년 사랑 시민에 설명은 해야잖나

기업의 가장 큰 목적은 이윤 추구다. 그 기업이 위기에 처했을 땐 더 말할 것도 없다. 우선 기업이 살아야 하고, 기업의 이윤 추구가 최우선 목적이어야 한다. 이 점을 분명히 하면서 부천의 신한일전기 논란을 전하려 한다. 지금 부천 시중에는 신한일전기(주)와 관련된 걱정이 나돌고 있다. 회사가 현 공장부지를 매각할 것이라는 소문이다. 아울러 해당 부지에 공동주택이 들어설 것이라는 얘기까지 있다. 꽤 많이 알려진듯 한데, 시민들 사이에 걱정이 많다.

신한일전기㈜ 부천 본사공장은 1968년부터 가동했다. 송내동 24번지 2만4천569㎡ 부지에 제조시설 면적만 1만4천31㎡다. 상주 직원 200명으로 연매출이 180억원 규모다. 생산 기반이 열악한 부천에서는 비중 큰 토착 기업이다. 이런 기업이 문을 닫는다는 소문이다. 공장이 떠나고 아파트를 짓는다고 소문이다. 적지 않은 시민들이 실망감을 얘기하고 있다. 행·재정적 교류를 이어온 부천시의 허탈감은 더 크다. 그도 그럴게 그간 얽힌 곡절이 많다.

선풍기 등을 생산하며 잘 나가던 회사가 규제에 묶인 건 1976년부터다. 공장부지 일부가 주거 지역으로 결정됐다. 그때부터 공장 증·개축이 불가능해졌다. 이후 40년 간 건물은 낡고 위험해졌다. 인천 남동공단 공장을 임차해서 사용했고, 급기야 해외 이전까지 검토하는 상황이었다. 이를 풀기 위한 노력이 부천시에서 이어졌다. 2012년부터 본격적인 규제개혁 방안을 중앙부처와 협의했다. 2014년에는 행안부 주관 경기지역 규제개혁 안건으로 만들었다.

결국 지난 2015년 시와 기업간의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이 맺어졌고 공장 증·개축 숙원이 풀렸다. 이를 근거로 2016년 신한일전기 측은 제조시설(공장) 1만4천31㎡를 증축할 수 있었다. 그 과정이 향토 기업과 지역 지자체의 대표적인 협력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바로 그 공장이 문을 닫고 아파트 단지로 변할 수 있다는 소문인 것이다. 밝혔듯이 기업에 절박한 상황이 있을 수 있음은 인정한다. 우리가 그 핵심 정보에 접근해 있지 못함도 인정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라도 대화와 이해를 구하는 과정이 여기서는 필요하다. 기업이 처한 상황을 설명하고 양해를 구하는 도리가 있어야 옳다. 40년 애정을 품어온 부천시민이다. 그 정도 권리는 충분히 있다. 기업 입장에도 그렇다. 자산 처리에는 현실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소문대로 해당 부지를 공동주택 개발용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가정하자. 일체의 부지 개발 과정은 부천시의 인허가권에 속한다. 개변이 불허될 수 있음을 신한일전기는 알아야 한다.

듣기에 ‘부천시가 상황을 파악하려 하지만 신한일전기 경영진과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사실이면 대단히 실망스런 일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