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계양 지역 등 인천 북부권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소각장 확보에 경고등이 켜졌다고 한다. 2026년부터는 수도권매립지에서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된다. 그러자면 충분한 용량의 쓰레기 소각장 확보가 먼저 해결돼야 하는데 사정이 급하게 됐다는 것이다. 당초에는 부천 대장동의 소각장을 증설해 서울시 강서구·부천·인천이 함께 사용할 광역 소각장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6·1 지방선거 공약 등이 변수로 떠오르면서 광역 소각장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인천에는 현재 송도 소각장과 청라 소각장 등 2곳의 자원순환센터에서 하루 960t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그나마 시설 노후화 등으로 현재도 포화상태에 도달해 있다. 수도권매립지의 사용이 종료되면 더 많은 쓰레기를 소각 처리해야 돼 소각 시설 확충이 시급한 과제가 됐다. 환경부도 최근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소각 처리 시설이 부족한 수도권 10개 지자체에 대해 2025년까지 소각장 설치를 완료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인천시는 직매립 금지로 소각 처리해야 할 생활폐기물이 하루 1700t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서구·강화권과 중·동구권 등 4개 권역별 소각장에서 나눠 처리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그러나 주민 반발 등으로 아직 입지 선정도 마치지 못한 상태다.
4개 권역별 소각장 중 부평·계양권은 부천 대장동의 광역 소각장을 사용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6·1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이같은 계획이 삐걱대기 시작했다. 민선 8기 부천시가 대장동 소각장의 증설·현대화 사업은 시민주권위원회를 통해 논의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키로 했기 때문이다. 부천시가 이같은 절차를 밟게 되면 시민주권위 관련 조례 제정을 비롯해 위원회 구성, 논의 과정 등을 감안하면 빨라야 내년에나 가부가 결정된다. 통상 4~5년의 소각장 설치 소요 기간을 감안하면 당장 사업에 착수해도 2025년 말 준공이 빠듯해진다.
이 때문에 인천시가 부천시의 결정만 기다리고 있을 때가 아니라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아예 계양테크노밸리 등에 자체 소각장을 건립하는 일에 착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각장 건립에 차질이 빚어지면 2026년부터 부평·계양권의 쓰레기 처리 부담이 연쇄적인 소각장 포화 상태를 일으켜 쓰레기 대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일리가 있는 우려다. 그간 인천은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종료를 두고 지속적으로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을 주창해 왔다. 부천지역의 광역 소각장 사용이 실현된다 해도 지속가능한 방안은 못 된다. 더 늦기 전에 부평·계양 권역의 자체 소각장 확보에 나서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