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의 연구활동 학습공동체-道교육연구회] 53. 경기도회복적생활교육연구회

비폭력 대화·관계회복 프로그램 개발… ‘평화로운 학교 문화’ 앞장
연수·워크숍 등 꾸준한 연구 활동-회복적 생활교육 실천 방안 제시
‘우수연구회’ 4차례 지정 영예도

image
전안나 조남중 교사

경기도회복적생활교육연구회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회복적 정의’를 토대로 평화로운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자발적인 교직원 모임으로 시작됐고 해마다 꾸준히 성장해 현재까지 총 4차례 경기도교육연구회 우수연구회로 지정됐다.

특히 경기도회복적생활교육연구회는 단위 학교, 각 지역교육지원청, 도내 연수원 등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원이나 기관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구축 및 장학자료 개발에 동참했으며 교육공동체의 관계 회복을 위한 학생 교육 및 교원 연수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일상으로의 회복과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해 ‘온·오프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6~7월에는 ‘선생님을 위한 비폭력 대화-교사의 말하기’를 주제로 실시간 쌍방향 연수와 워크숍(총 15시간)을 진행했고, 학생들의 평화로운 관계 형성을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대화법과 갈등 해결 방법을 안내해 큰 호응을 얻었다.

오는 8월11일에는 시흥 함현고에서 경기도회복적생활교육연구회 연구위원이 자체 진행하는 ‘학교 밖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날’을 운영한다. 이 연수는 그림책을 읽으며 평화감수성 함양을 돕는 ‘그림책 서클’과 학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상황에 즉시 개입할 수 있는 ‘긴급 갈등 개입 프로세스’로 이뤄진다.

아울러 10월에는 온·오프라인 관계 회복프로그램 장학자료집이 개발돼 지역연구회나 관심 있는 교원에게 제공되며, 회복적 생활교육 운영을 위한 교구 개발도 진행 중이다. 2학기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회복적 생활교육의 실제적인 모델과 방법을 제안해 회복적 생활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직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 경기도회복적생활교육연구회는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회복적 생활교육의 실천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매달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서클’로 진행되는 이 연수는 초·중·고 학교급별로 적용 가능한 온·오프라인 회복적 생활교육 실천 사례를 안내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에게 활용 가능한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영화 서클, 음악 서클, 그림책 서클, 독서 서클 등의 다양한 주제는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교과 시간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 활동을 위한 좋은 가이드라인이 돼 주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모임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극복돼 정기적인 모임이 지속적으로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각 학교의 회복적 생활교육 경험을 나누며 함께 성장하고 격려하는 시간이 되고 있다.

전안나 조남중 교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