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규제를 풀어 10년간 반도체 인재 15만명을 키운다는 방침을 내놓으면서 반도체 관련 교수를 확보한 인하대학교 등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9일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을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산업계에서는 현재 약 17만7천명 수준인 반도체 인력이 관련 산업의 규모 확대에 따라 10년 뒤 30만4천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에 상관없이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첨단분야 학과의 신·증설 시 학부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인하대는 이 같은 정부 방침에 발맞춰 반도체 인력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인천의 반도체 산업을 성장시킬 예정이다. 인하대는 이미 반도체 관련 신소재공학과·전기공학과·전자공학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 인하대는 교육부가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의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인하대 관계자는 “기업연계 직무훈련 등을 강화함으로써 인천의 반도체 산업 및 K-반도체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