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 버텼는데…” 인천 학원가 다시 위기감

10·20대 중심 코로나 재확산… “또다시 제재땐 생계 위협” 호소

인천 부평의 한 국어학원에서 선생님과 학생 모두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지키며 수업하고 있다. 김수연기자

“온라인으로 수업할 때, 영상 틀어놓고 멍 때렸어요. 이젠 직접 학원에서 대면 수업을 하니 집중력이 더 올라가는 것 같아요.”

코로나19 이후 학력 격차가 벌어지면서 교육 공백을 줄이기 위해 학원을 찾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재확산세로 들어서면서 학원가가 노심초사하는 보습을 보이고 있다.

23일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올해 6월1일 기준 인천 지역 학원과 교습소는 각각 4천322곳과 1천547곳으로 총 5천869곳이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보다 348곳 늘어난 수치다. 인천 지역 학원과 교습소는 코로나 발생 초기인 2020년까지 5천521곳이었지만 지난해 166곳 늘어난 5천689곳으로 집계되는 등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초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영세학원들이 학원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학력격차가 점차 심해지자 학원을 찾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학교 교육 활동 위축과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우려로 인해 사교육의 열기가 점차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중·고등학생들의 국어영역 성취수준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작년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고등학교 국어는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64.3%로 전년 대비 5.5%p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다시 문을 닫아야 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학원가를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벌어진 교육 공백을 학원으로 채우려는 분위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게 학원가의 설명이다.

인천의 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인 이모양은 “대면수업으로 바뀐 지 오래지만 여전히 영상을 틀어주면서 수업을 하는 선생님들이 있다”며 “주요과목도 영상으로 수업을 하는 선생님들이 있는데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했다. 인천 부평에서 15년째 학원을 운영 중인 김모씨는 “코로나 때문에 학교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학력저하로 인해 학원을 찾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늘었다”고 했다.

반면, 김씨는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증가세로 인한 불안함을 감추지 못했다. “(코로나19로 다시 방역체계를 강화할 경우) 지금까지 버틴 것도 겨우겨우 버텨온 것”이라며 “학원내에 확진자가 나오면 1~2주 정도 문을 닫고, 환불도 했다”고 했다. 이어 “학원 운영비도 안 나오는데 죽으라는 소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비대면 수업 운영으로 디지털 격차나 가정 돌봄이 부족해 학습에 집중하기 어려워 학력격차가 벌어졌다”며 “이런 이유로 사교육 수요가 늘어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학력진단과 학습지원의 활성화와 학교 대면 수업, 방과 후 수업 등을 통해 사교육 쏠림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교육부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과 제한적인 학습활동의 여파로 학습결손이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올해 8월 중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수립 시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오는 10월 중으로는 교육결손 해소 지원방안을 발표해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수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