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켄타우로스의 확산 막을 선제 방역 시급하다

코로나19 6차 대유행이 본격화하고 있다. 2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만8천551명 발생했다. 이로써 누적 확진자는 1천914만6천180명으로 늘었다. 이틀째 7만명 수준을 이어갔다. 1주 전인 16일보다 2만7천241명(66%) 늘었고, 2주 전인 9일에 비하면 무려 4만8천278명(238%) 증가한 규모다.

24일 0시 기준도 역시 증가했다. 주말이라 검역건수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6만5천433명의 확진자가 발생, 지난주에 비하면 2.5배 증가한 것이다. 일요일 기준으로 13주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 6월27일 저점인 3천423명을 찍은 뒤 1주 단위로 더블링(확진자가 두 배씩 늘어나는 추세)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확진자는 24일 0시 기준 1만7천297명으로 전국 최대다. 물론 인구가 전국 최다이기에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가볍게 생각할 일이 아니다. 더욱 큰 문제는 막강한 전파력을 가진 켄타우로스 변이(BA.2.75)의 확산 조짐이다.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켄타우로스 확진자가 지난 14일 발생한 이후 벌써 3명이 발생했다. 이는 이미 국내에 켄타우로스 환자가 지역 확산이 됐다는 증거이다.

켄타우로스의 지역 확산을 막지 못한다면 내달 중순에는 30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에 방역당국은 25일부터 요양병원·시설 등에 대면면회를 중단하고, 시설 종사자는 주 1회 PCR 검사를 받도록 했다. 먹는 치료제 94만명분을 추가 구입하는 한편 병상 4천개를 재가동하고 전국 임시선별검사소 및 검사·처방·치료를 모두 담당하는 ‘원스톱 진료기관’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 같은 방역대책은 오미크론 유행 당시에 썼던 기존 대책의 연장에 불과하다. 반면 치료를 위한 지원은 오히려 줄었다. 유급휴가를 받지 못한 코로나 입원·격리자에게 지급돼온 생활지원비는 기준 중위소득 100%(4인 가구 512만원) 이하로 대상이 줄었으며, 모든 중소기업에 최대 5일 제공됐던 유급휴가비 역시 30인 미만 기업 근로자로 축소했다. 또한 확진자 의료비 지원 대상도 줄었기 때문에 확진된 노동자들이 출근할 수밖에 없어 자연히 집단감염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6차 대유행을 막으려면 무엇보다도 선제 방역이 중요하며, 이는 정부가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정부는 휴가철 이동 등으로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과거의 방역대책만 되풀이 하고 있다. 정부는 과학방역을 하겠다고 약속만 했지 획기적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켄타우로스가 만연되기 전에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선제 방역대책을 마련, 6차 대유행을 막아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