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미래 먹거리 반도체, 먼저 규제부터 풀어줘야

인천시가 반도체 후공정 산업을 주축으로 하는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에 나선다고 한다. 윤석열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반도체 산업 육성책에 발맞춰 이를 인천의 미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서다. 4일부터는 ‘국가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시행에 들어간다. 이 법에 따라 정부가 추진할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및 기반구축 공모사업을 겨냥한 포석이기도 하다.

지난주 미국을 방문했던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조 바이든 미 대통령간의 화상 통화가 화제가 됐다. 290억달러에 이르는 SK그룹의 대미 투자에 대해 미국 대통령이 파격적인 감사를 표시한 것이다. 이 중 220억달러가 반도체 분야 투자다. 이처럼 반도체 산업은 이제 국제 질서를 좌우할 만한 글로벌 화두가 됐다. 정작 인천에서도 모르는 이들이 많지만 인천은 반도체 산업의 잠재력이 큰 도시다. 우선 인천의 수출품목 1위가 반도체다. 지난해 인천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6.5%에 이른다. 2위인 자동차 수출의 비중이 8.7%이니 월등한 차이의 1위다.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도 2020년에 비해 70%나 늘어났다니 그 성장세 또한 가파르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인천에는 현재 앰코코리아와 스태츠칩팩코리아 등 반도체 후공정(패키지 및 테스트) 분야 세계 2·3위 기업을 비롯해 1천264곳의 관련 기업들이 포진해 있는 것이다.

특히 인천은 한국 반도체 산업이 상대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는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강하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단순히 정보 저장 용도인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정보처리 기능이다. 고도의 회로설계기술을 필요로 하는 소량 다품종의 고부가가치형 반도체다. 한국은 메모리 분야에서는 세계 시장의 53%를 차지하지만 비메모리는 3%에 불과하다. 그런데 인천의 반도체 수출 중 94%가 비메모리 반도체에 집중돼 있으니 그만큼 성장 역량도 크다고 할 것이다.

인천시는 송도국제도시나 남동국가산단의 반도체 기업 집적지 한 곳을 선정해 특화단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공모사업을 통한 정부지원으로 지역내 기업들이 공동활용할 기반시설도 확충한다. 반도체 후공정 기업들에 필요한 분석·계측·시험 장비 등을 마련, 표준 인증 및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도 지원할 계획이다. 인천의 미래 먹거리를 키우는 일은 중대한 사업이다. 그러나 그 주체는 결국 민간기업이 돼야 한다. 인천의 반도체 기업들이 맘껏 달려 나갈 수 있도록 규제 족쇄를 풀어주는 것이 인천시가 먼저 할 일이다. 첨단전략산업 특별조치법에도 ‘인허가 신속 처리’가 포함돼 있듯이.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