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인사 잡음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내용도 선거 관련부터 측근 관련까지 다양하다. 흔하게 볼 수 있는 후유증 수준의 잡음은 아닌 듯하다. 인사 불복 분위기도 있고, 일부 당사자는 석연찮은 휴가를 내기도 했다. 급기야 안성시의회까지 나섰다. 1일자로 발령 난 의회 파견 공직자 5명 전원에 시 복귀를 요청했다. 시장 인사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공식 의사 표시다. 더욱이 일부 의혹은 잡음 수준을 넘어 감사 또는 수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있다.
구설 하나는 ‘수사 받는 공무원 보은설’이다. 안성시가 대규모 인사를 한 것은 지난달 초다. 이 인사에서 A과장이 4급 국장으로 승진했다. B팀장은 행정과 행정팀장으로 영전했다. 둘은 선거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김보라 시장이 공직자 1천399명에 떡을 돌렸다는 혐의다. 시정 현안 업무 추진 격려가 명분이라고 했지만, 6·1 지방 선거를 두 달여 앞둔 시점이라 점에서 선거법 위반 조사가 진행 중이다. A과장과 B팀장은 이 사건의 조사 대상자다.
수사의 관심은 김 시장의 관련 여부다. 김 시장이 기부 행위 등으로 의율될 것이냐에 있다. 이런 과정에서 A과장과 B팀장의 진술이 중요하다. 이런 때 시장이 둘에 대한 승진·영전 인사를 했다. 통상 이런 수사의 경우 참고인들의 진술이 방향을 결정한다. 이를 모를 리 없는 시장이다. 수사에 영향을 미치려는 인사로 비춰질 수 있다. 시 인사 담당 관계자가 인사 직후 “(둘 인사에)결격 사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누가 봐도 ‘오비이락’ 이상이다.
또 다른 구설은 복잡하고 수상쩍다. 같은 인사에서 5급으로 승진한 C팀장이다. 당초 5급 결원은 행정직과 시설직이 각 한 자리씩이었다. 하지만 시설직이 생략되고 두 자리가 모두 행정직에서 채워졌다. 행정직인 C팀장을 승진시키기 위한 조치였다는 의혹이다. 중요한 것은 이 의혹에 따라붙는 근거다. C팀장이 공사 계약 업무를 담당하면서 시장 측근 사업가에 일감을 몰아줬다는 주장이 나돌고 있다. 단순한 인사 특혜로부터 차원이 달라지는 의혹이다.
시장실과 측근 모두 선거 때 도움을 주고 받은 것은 인정한다. 특혜를 준 일감이 문제인데, 그 측근이 직접 사업을 하진 않는다. 자녀 명의 회사가 실내 건축·인테리어 업을 하고 부인 명의 회사가 인력·포장공사를 한다. ‘자녀 명의 회사’가 수주한 관급 공사가 꽤 된다. 본보가 확인 한 것만 2018년 13건, 2019년 10건, 2020년 13건, 2021년 19건, 2022년 6월 말 12건이다. 수주 내용은 정비사업, 용역, 집기 구매, 인테리어, 보수 공사 등 다양하다.
특혜 수주도, 인사 비위도 예단하지는 않겠다. 다만 잡음의 실체를 분명히 밝히고는 가야 한다. 소문만으로도 관내 업계에 주는 실망이 얼마나 크겠나. 안 그래도 척박한 코로나 지역 경제다. 당사자가 특정돼 있다. 연도별 계약 공사도 확인돼 있다. 이제 밝히면 된다. 절차는 옳았는지, 적격한 공사였는지, 경쟁 업무를 방해한 것은 없는지 밝히면 된다. 필요하다면 감사도 해야 하고, 수사도 해야 한다.
안성시의회의가 밝힐 수 있다면 더 좋은 일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