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구 오류동의 검단일반산업단지는 220만㎡ 규모로 2014년 완공했다. 흔히 도금업으로 알려진 표면처리업종 연관 업체들이 대거 입주해 있다. 지난해부터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됐지만 이곳 화학물질 배출량은 연간 2천760t에 이른다. 이런데도 화학물질 사고에 대비한 완충저류시설의 건설은 계속 미뤄지고 있어 ‘불안’을 키우고 있다고 한다.
완충저류시설은 산업단지에서 화재·폭발사고 등으로 유해화학물질을 배출할 경우 하천으로 직접 유입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시설이다.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이 연간 1천t을 넘는 산업단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용량의 완충저류시설 설치를 의무화했다. 인천시는 뒤늦게 지난해부터 35억3천만원을 들여 이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검단산업단지의 동·서·북측 유수지 초입에 총 250t 규모의 완충저류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그런데 계획단계에서부터 환경부의 제동에 걸려 밑그림조차 그리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총사업비의 70%를 국비로 지원한다. 인천시가 산정한 용량이 환경부의 완충저류시설 지침에 크게 못미쳐 환경부가 반려한 것이다.
환경부는 인천시의 사업 계획이 사고 유출량 등의 산정에 있어 최대 강우량을 고려하지 않아 충분한 용량이 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사고는 맑은 날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강우 시 사고가 발생해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되는 경우까지 감안해야 한다. 그러나 인천시는 비가 올 때 오염물질을 막아주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돼 있어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 기능이 없어 고려 사항이 아니라고 했다.
인천시는 환경부 지침대로 완충저류시설의 용량을 산정하면 사업비가 4배 가까이 늘어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 그래도 뒤늦은 사업이 더 지연될 것도 걱정이다. 그러나 용량이 떨어지는 완충저류시설을 갖추는 것도, 필수적인 환경시설이 마냥 늦춰지는 것도 둘 다 큰 문제다. 화학물질 배출 비중이 큰 검단산단에서 오염물질 유출 사고가 나면 산단 종사 근로자들과 이 일대 주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가기 때문이다. 최근의 폭우 사태도 100년 빈도 강우량을 감안해도 부족할 배수 시설이 고작 10년, 30년 빈도 강우량에 맞춰졌기 때문이라지 않는가. 환경부도 대부분의 사업비를 부담하는 만큼, 충분한 용량의 검단산단 완충저류시설을 하루 빨리 완공하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