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소래습지 세족장 설치...깃대종 ‘흰발농게’ 터전 위협

갯벌 체험 후 버려진 수돗물, 생태계 악영향...민물에선 생존 못해… 염도 떨어지면 폐사
전문가 “정확한 연구 통해 서식지 보호해야”...市 “환경단체에 자문 받아 공사한 것” 해명

image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갯벌 옆에 갯벌로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세족장이 설치돼 있다. 인천 깃대종인 흰발농게는 갯벌 염도에 따라 생존에 영향을 받는 생물종이다. 이민수기자

16일 오전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해양친수데크를 따라 걸으니 갯벌 체험로 계단으로 이어졌다. 갯벌과 데크의 연결 계단에는 갯벌 체험을 한 뒤 발을 씻을 수 있는 세족장이 설치돼 있었다. 갯벌 체험을 마친 이가 발을 씻은 수돗물은 곧장 갯벌에 버려졌다. 연간 수백명의 체험객이 갯벌 체험을 한다고 가정하면 이렇게 버려지는 수돗물이 갯벌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환경 전문가의 설명이다. 김태원 인하대 해양과학과 교수는 “소래습지생태공원에 탈염이 진행돼 민물공원화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세족장이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물이 어디로 빠져나가 어디를 지나가는지 정확한 연구를 통해 갯벌환경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인천 깃대종인 ‘흰발농게’의 주요 서식지인 소래습지생태공원에 설치한 세족장이 흰발농게의 서식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세족장에서 나오는 수돗물이 흰발농게가 서식할 수 있는 갯벌 적정염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세족장 인근 갯벌에는 흰발농게는 아니지만, 다른 종류의 많은 농게가 죽어 있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해 4월 총 39억원의 예산을 들여 소래습지생태공원 해양친수공간 조성공사를 마쳤다. 이 공사에는 갯벌 접근성을 높이는 데크공사와 갯벌체험 후 이용할 수 있는 세족장 설치가 포함됐다. 시는 해양친수공간 조성 공사를 통해 시민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갯벌을 보호하겠다는 구상이지만, 시가 설치한 세족장이 오히려 갯벌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래습지에 서식하는 흰발농게는 갯벌 염분농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생물종이어서다.

image
16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공원 세족장 인근 갯벌에 흰발농게는 아니지만, 유사종인 농게들이 집단으로 죽어 있는 모습. 이민수기자

흰발농게는 갯벌 상부에 살면서 갯벌 바닥에 구멍을 내고 갯벌에 숨을 불어넣는 역할을 맡는다. 흰발농게는 민물에서는 살지 못하고, 바닷물(염도 3.3~3.5%)과 민물이 섞여 염도가 약 1.5%인 곳에서 살 수 있다. 민물이 유입해 염도가 떨어지면 흰발농게에 생리적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의미다. 문제는 세족장이 수돗물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사용한 수돗물은 그대로 갯벌로 유입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물이 고인 웅덩이나 물길이 흰발농게 서식지에 생길 가능성이 크다는 게 환경 전문가의 분석이다.

박옥희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세족장에서 민물이 쏟아져 내려 염수농도가 낮아져 흰발농게 등이 폐사하는 상황”이라며 “국가도시공원 계획을 한 공원을 일반적인 시설로만 보는 행태가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사 이전 환경단체 등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공사를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시는 지난 4월 흰발농게를 ‘인천 깃대종’으로 지정했다. ‘깃대종’은 특정 지역의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로, 보호할 필요성을 인정받은 생물종을 의미한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