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임용…‘서류 1장’으로 바뀐 교원전문직 인사에 경기교육청 잡음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10일 단행한 교원 및 교육전문직원 인사를 놓고 도교육청 안팎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교육 전문직의 꽃으로 불리는 장학(교육연구)관과 교육장을 뽑는 심사기준이 기존 면접과 동료평가 등에서 지원서 1장으로 대폭 간소화됐기 때문이다.

18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 10일 교원 및 교육전문직 총 1천562명에 대한 인사를 9월1일자로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자율·균형·미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인력배치에 중점을 뒀다.

특히 교원전문직원 인사는 본청 국장 1명, 교육장 5명, 장학(교육연구)관 전직 및 전보 17명 등 총 195명 규모로 이뤄졌다.

이런 가운데 도교육청이 인사를 단행하기 이전인 5월과 7월 교육장·장학(교육연구)관에 대한 선발 방식이 갑작스레 바뀌면서 경기교육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도교육청 교원정책과가 5월31일과 7월5일에 발송한 공문이 발단이 됐다. 교원정책과가 5월에 내보낸 ‘2022년 하반기 교육장·장학(교육연구)관 공모 시행 계획’을 보면 교육장의 경우 9명 이내로 교육장 공모심사회를 구성해 심사토록 돼 있다. 심사 기준은 총점 100점에 발표 및 면접심사 70점, 온라인 동료평가 30점이다.

장학(교육연구)관도 공모제와 추천제로 지원서 및 추천서를 각각 제출받은 뒤 발표, 면접심사, 온라인 동료평가를 거쳐 점수를 부여하게 돼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모제가 지난 7월5일 임용 방식으로 바뀌면서 까다로웠던 절차들이 대폭 축소됐다. 면접, 평가 등이 사라지고 학력, 경력, 징계사실 유무 등만 적어서 내면 되는 단 1장의 지원서로 지침이 변경된 것이다.

이를 두고 경기교육계에선 “최소한의 요식행위조차도 하지 않은 인사”라며 강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장학관은 “장학관의 경우 엄격한 자격 조건을 갖추고 치열한 경쟁을 뚫기 위해 많은 연구와 열정으로 오랜 기간 준비해야 될 수 있다”면서 “장학관과 교육장이 되려는 이들의 비전을 보기에는 종이 1장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교원정책과 관계자는 “17개 시도 교육청 가운데 공모제를 진행하는 곳이 경기와 전북이었다”면서 “공모제만으로는 충분한 인력풀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어 임용으로 바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현장에서 역량 있는 많은 분들을 발굴하기 위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응모하게 끔 문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