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미래 전략산업인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반도체 마이스터고’ 설립을 추진한다. 용인 등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지역에 ‘하이테크(High Tech) 고등학교 설립’을 구상하고 있다. 민선 5기 경기도교육감직인수위원회가 발간한 백서를 토대로 임태희 교육감이 내린 결단이다.
임 교육감은 지난 달 6일 열린 취임 기자회견에서 “100만 반도체 인력 양성의 중심은 경기도가 맡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면서 “반도체와 바이오 등 우리 산업의 중추가 대부분 경기도에 있는데 이런 기업들과 교육 현장을 연결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고급인력으로 충분히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디지털 100만 인재 양성을 공약한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교육부에 과학기술 인재 공급을 주문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교육부는 최근 10년간 반도체 인력 15만명을 양성하는 내용의 ‘반도체 인재 양성방안’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이 “반도체가 국가 안보 자산이자 우리 경제의 근간”이라며 인력 문제 해결을 주문한 뒤 나온 대책이다.
반도체 인재 양성은 경기도가 제격이다. 반도체 관련 업체들이 수원, 화성, 이천, 용인, 평택 등에 밀집돼 있어 산학연 협력 등 효율성이 크다. 교육감직인수위가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지역에 마이스터고 설립을 제안한 것도 이런 이유다. 폐교 부지 등을 활용해 전국 단위의 학생을 모집하는 기숙형 학교 형태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선 해결할 과제가 많다. 우선 반도체 관련 지식을 가르칠 교사가 전무하다. 연수기관도 자체 연수가 아닌 외부로 한정돼 있어 정책 추진 과정에 어려움이 많다. 현재 반도체 관련 연수는 한국과학기술대, 한국나노기술원 등 전문 기관 또는 일부 대학에서 이뤄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학교 교육일정과 맞지 않아 교사들이 학기 도중 연수교육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억대에 달하는 값비싼 반도체 장비와 전기세 등 장비 유지비만 연 2억원이 넘어 학교 운영에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
교육부도 반도체 인재 육성의 밑그림을 내놨지만 예산, 인력, 실험·실습 장비 부족 등으로 고민이 깊다. 교원만 확보하면 대학의 반도체학과 신·증설, 고교 신설 등을 허용하겠다는데 인력이 크게 부족하다. 실험·실습 장비도 상당히 부실하다. 도교육청은 경기도와 협업, 교사 및 학생 연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의 연구 장비를 교육용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와 도교육청의 협업만으로 한계가 있다. 산학연 협력이 절실하다. 정부는 교원 확보, 시설·장비 투자, 연구비 등에 재정을 전폭 지원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