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과만 하는 ‘봉인열차’를 두고 볼 건가/양평, ‘용문~홍천’鐵 정차역 싸울 때다

용문~홍천간 광역철도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된 건 지난해다. 경기 양평과 강원 홍천 지역민에게 더 없이 기쁜 소식이었다. 이제 그 구체적인 일정과 밑그림을 확정하는 일이 남았다. 예비 타당성 조사가 대표적인데, 여기에 정차역이 지정돼 그려질 것이다. 양평군민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정차역-단월역, 용문산역, 청운역 등-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역 전체가 절박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용문면과 단월면 주민들로 구성된 정차역 설치 추진위가 구성된다. 주민 전체가 참여하는 서명운동도 진행될 예정이다. 전진선 군수는 ‘밥은 굶더라도 (양평 내 정차역) 유치 운동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결기를 내보였다. 양평은 경기도 내 대표적인 낙후 지역이다. 상수원보호구역이라는 원죄에 갇혀 수십년째 차별받고 있다. 철도 교통이 이 지역 발전에 절대적임은 누구나 알고 있다. ‘차별받은 양평’에 ‘특혜’랄 것도 없다. ‘뒤늦고 미미한 보상’이라고 본다.

정차역 설치를 막고 있는 걸림돌이 있다. 광역철도의 정량적 기준이다. 법률상 ‘광역철도의 거리 반경은 50㎞ 이내 또는 통행 시간 60분 이내여야 한다. 최소한 둘 중 하나가 조건이다. ‘용문~홍천’ 철도는 청량리역을 기준으로 반경 50㎞를 벗어난다. 세세한 정차역을 모두 거칠 경우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물리적 거리를 줄일 수는 없다. 그래서 운행 시간을 60분 이내로 줄이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 이게 양평 내 정차역 설치를 멈칫거리게 한다.

현실에도 안 맞고 합리적이지도 않다. 애초 ‘용문~홍천’ 철도의 취지가 뭔가. 홍천 살리기다. 홍천에는 철도 교통이 없다. 강원도 18개 시·군 가운데 유일하다. 앞으로 착공 계획도 없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된 이유도 바로 여기 있다. 잘한 일이다. 홍천을 위한 결정을 이견 없이 지지한다. 한 발 나아가 향후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 이런 사정이 반영된 ‘특별한 판단’이 있기를 바란다. 바로 이 기준이 양평에도 적용돼야 함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수도권 주민 먹을 물 대느라 공장 하나 세우지 못했다. 그런 희생이 50년 되면서 경기도의 가난한 지역이 됐다. 홍천군민에게 철도교통이 절박하다면 양평군민에게도 똑같이 절박하다. 홍천행 기차가 ‘봉인 상태’로 양평을 통과해도 좋을 어떤 이유도 없다. 이게 어찌 ‘양평만 잘 살겠다’는 이기적 주장인가. ‘양평도 사람처럼 살겠다’는 생존의 주장이다. 철도를 100년 교통망이라 했다. 지금 못하면 100년 기다릴 수 있다. 감히 주장하건대, 양평이 소리 낼 때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