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市·교육청, 내년 친환경 무상급식 인상안 ‘온도차’

교육청, 올해보다 31% 올리자...市는 “재정여건상 안돼” 팽팽

image
급식을 먹고 있는 인천지역 고교생들. 인천시교육청 제공

인천시와 인천시교육청이 2023학년도 유치원, 초·중·고·특수학교 친환경무상급식 인상안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양측이 제시한 급식비 인상안의 인상률이 3배 차가 나는 데 조율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올해도 서울·경기지역 보다 단가가 낮아 급식 질이 낮다는 비판이 나오는 상황에서, 내년에는 이 격차가 더욱 벌어져 인천 학생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30일 시와 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내년 유치원, 초·중·고·특수학교 984개교 36만여명이 혜택을 보는 친환경무상급식 예산을 올해보다 31% 늘린 2천945억5천100만원으로 편성할 계획이다.

이는 서울, 경기도에 비해 낮은 급식단가를 해결하고, 물가상승에 따른 학교급식 식재료 가격 상승분을 반영한 결과다. 올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국내외 정세변화로 물가상승률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급식 지원단가도 평균 24% 올랐다. 또 일반식품비는 평균 27%, 친환경식품비는 평균 27% 각각 늘어났다. 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무상급식 예산을 분담하는 시에 통보하고 무상급식 식품비와 운영비 지원단가 인상을 요청했다.

하지만 시는 시교육청의 지원단가 인상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올해 보다 약 31% 인상하는 것은 재정여건상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의 ‘지속적인 물가상승으로 인한 학교급식 질 저하 우려’, ‘서울과 경기에 비해 낮은 급식단가’, ‘일정 수준의 급식비 인상을 통한 학교급식 질 향상 필요’ 등엔 이견이 없다는 것이다.

다만, 시는 재정부담 완화를 이유로 올해 보다 11.8% 인상하는 데 그친 2천516억3천600만원을 내년도 무상급식 예산으로 제안했다. 시교육청이 제시한 인상율의 3분의 1 수준인 셈이다.

특히 시는 이같은 인상안을 제시하면서 기존 시교육청(43%), 시(34%), 군·구(23%) 분담률을 시교육청 47%, 시 32%, 군·구 21% 변경하자는 조건을 달았다. 반면, 시교육청은 시의 이 같은 조건부 인상안을 받아 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최근 실무협의를 통해 인천시와 내년도 무상급식 인상안을 놓고 논의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했다. 이어 “부교육감 주재로 다음달 말 또는 10월 초 열릴 예정인 교육지원위원회에서 다시 논의할 방침”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 급식지원 단가를 큰 폭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시교육청의 설명에는 적극 공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급격한 인상에 따른 재정부담 환화를 위해 시교육청에 단계별 인상안과 함께 재원분담률 조정을 제시한 것”이라고 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