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가 관내 도시공원 청소 인력을 효율적으로 투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원시정연구원은 31일 이 같은 내용의 ‘수원특례시 도시공원 청결관리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현재 수원지역에는 25개 권역의 공원 314곳이 있다. 이에 시는 국가유공자 및 장애인 등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을 토대로 장애인 단체와의 수의계약 방식을 통해 청소 용역을 발주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는 별다른 용역 설계 기준 없이 업무담당자의 판단 하에 적정 근무인원을 책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A근린공원 한 구역의 적정 인력은 수원시정연구원에 의해 8~12명으로 산출됐으나 이보다 더 많은 청소 담당자들이 도시공원을 관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해진 예산 내에서 시가 인력 운영을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상태인 데도 시는 이러한 행정을 펼치고 있다는 게 수원시정연구원의 설명이다.
또 수원시정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관내 공원·구역별 청결관리 용역 설계의 공통된 기준을 제시했다. 청결관리 속도 등 실제 업무량을 기반으로 한 적정근무인력 산출 표준안을 도출했다.
수원시정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지속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계약 방식을 점진적으로 일반경쟁 등으로의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며 “청소담당자들의 애로사항, 필요사항 등을 정기적으로 청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