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과학적인 탄소중립 이행 방안으로 녹색경제전환 추진에 발맞춰 경기도가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내년 상반기 기후대응기금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탄소중립에 정부와 광역지자체가 어깨동무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파주시가 탄소중립 수단으로 공공조명 가로등 발광다이오드(LED) 교환 방안이 관심사다. 본보는 실태 및 대안 등을 두 차례에 걸쳐 긴급 점검한다. 편집자주
탄소중립 중요수단 떠오른 가로등 LED 교체. 上
정부는 지난 6월15일 “탄소중립 실현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초미세먼지 30%감축 등 녹색 로드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지자체에 탄소중립지원센터 100여곳을 설립·운영하고 범국민 탄소중립실천포인트 등 생활 실천 확대에도 나서기로 했다. 이처럼 정부가 이산화탄소 실제 배출량 0인 탄소중립 실천을 천명한 가운데 파주에서 효율적이고 접근이 쉬운 탄소중립 실천 수단으로 공공조명 가로등을 LED로 대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의 나트륨계열 가로등은 전기료 부담 등으로 탄소중립 실천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18일 파주시와 한국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환경부의 공공 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운영 등에 관한 지침(고효율인 LED로 전등 교체)을 토대로 시는 공공조명 가로등 6만4천170개 중 22%만 LED등으로 교체했다. 나머지 5만여개는 여전히 저효율인 나트륨계열 수은등이다. 시 재정이 제때 뒷받침되지 않아 교체작업은 상당 기간 더딜 것으로 예측된다.
문제는 현 파주의 주력 가로등인 수은등이 비효율적이어서 전력소비가 높고 온실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하며 미세먼지를 과다 유발한다는 점이다. 지난 2020년 12월 말 현재 파주시 자료를 보면 현 수은 가로등으로 연간 4만3천523㎿ 전력 소비, 전기료 및 유지비로는 약 65억원, 이산화탄소 발생 1만9천994t, 미세먼지 23t 발생 등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이를 LED 가로등으로 전면 교체할 경우 각 부문을 최고 70% 가까이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실제로 전력은 60%절감되는 2만6천여㎿에 예산은 최고 70% 가까운 40여억원이 절감되고 탄소중립의 핵심 실천사항인 이산화탄소가 현재보다 1만2천여t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미세먼지가 60%인 14t 줄어들고 연인원 일자리 창출 2만여명에 지역업체 참여로 지역경제효과가 6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LED 가로등 교체가 탄소중립 수단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탄소중립은 피할 수 없다”며 “정부가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종합평가에 온실가스 감축 계획 및 이행 실적 등을 반영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재정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가로등을 LED등으로 꾸준히 교체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