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원이나 해수욕장에서도 음식 배달을 해주는 곳을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정작 배달 라이더에게 내 위치를 설명하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조형물이나 광장 입구로 주문하더라도 위치를 설명하느라 시간과 비용을 낭비해야 한다. 이런 사정을 잘 아는 배달 라이더의 호출 거부로 대기시간이 늘어나기도 한다.
한편 미국 등 일부 도시에서는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드론과 로봇을 활용한 배달 서비스가 이미 시작됐다. 앞으로는 실내외 어디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내가 있는 곳까지 배송될 것이라지만, 그러기 위해선 배달 지점의 정확한 위치정보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
지금까지의 주소는 집과 회사 등의 소재지를 의미했으나 로봇, 드론, 자율주행자동차, 디지털트윈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러한 기술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주소가 필요해지고 있다.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결하고 사람과 로봇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주소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LX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를 주소정보활용지원센터로 지정해 우리 국토에 촘촘한 주소정보 기반시설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우선 누구나 어디든 해당 위치를 주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물, 사물, 공간의 모든 접점에 주소정보를 부여하고 있다. 노상·노외 주차장, 버스정류장, 육교 같은 공용 시설물의 ‘사물주소’ 부여를 확대하고 있으며 산악지역에서 재난과 사고로 인한 긴급 구조 시 위치 파악을 위한 ‘국가지점번호’도 설치해 관리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는 일정 시간 사용하고 소멸하는 ‘시간주소’를 도입해 야식을 파는 푸드트럭, 겨울철 붕어빵 파는 곳도 손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최근 부각되고 있는 로봇 방문 배송이나 휠체어 이동권 보장이 가능하도록 입체도로와 내부도로의 ‘이동경로’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다양한 주소정보체계 구축을 추진하면서 2030년 기준 1조원대의 주소정보산업 창출을 목표하고 있다. 주소정보가 촘촘하게 연결된다면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일상 속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국민 생활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LX공사도 주소정보 활용기술을 개발 보급하고 주소정보산업을 육성해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권경현 한국국토정보공사 경기북부지역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