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4차 산업혁명… 미래형 학습 ‘에듀테크’ 열공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역량 강화 학생 주도 융·복합 수업 개선 등 시·공간 한계 없는 교육 연구 매진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에 따라 ‘미래형 수업의 방향성’과 ‘학교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교육 주체 역시 교육환경의 변화를 반영해 위드 코로나 시대의 교육 방향을 구체화하고 개선해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
본 연구회는 학생이 스스로 삶의 능동적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학생 주도 미래형 융·복합 수업의 개선’과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 연구’를 실천하고자 한다.
미래형 수업은 온라인 학습을 학교 정규교육에 도입하고 시·공간의 한계를 벗어나 교과 학습 보장을 통한 책임교육을 실천하며 더 나은 교육의 지향점을 찾는 실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교육은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을 효율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연구됐다.
하지만 미래의 교육은 복잡한 정보 환경 속에서 학생들 스스로가 유의미한 정보를 조직해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도록, 기계가 할 수 없는 창의·융합적 사고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학교의 수업이 교사 중심에서 학생 참여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학생 주도의 미래형 융·복합 수업의 개선과 실천을 위해 BYOD 사업과 연계해 온·오프라인 수업 내실화를 위한 에듀테크 활용 수업, 융·복합 프로젝트형 수업, 교육 주체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 연구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통해 학생 주도의 미래 교육 실천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회는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나들며 학생의 학습 경험을 다양화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세상에 맞는 미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을 실천하고 나누고자 한다. 또 에듀테크 자체보다 학생들에게 이를 활용해 어떤 배움을 심화하고, 어떤 새로운 가치와 역량을 길러낼까를 고민하는 자세를 기저에 둘 것이다.
2022년 연구회 주요 활동은 ‘연구위원 역량 강화’,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생 주도 미래형 수업 공동 연구’,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 연구 및 공공지원사업’, ‘학교 현장 지원체제 구축’이라는 네 가지 큰 범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하고 실천하며 성장해 나갈 것이다.
김재현 수원 중앙기독중학교 교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