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교육청, 학교 업무부담 큰 짐 던다…업무경감 본격 시동

그동안 교육 당국의 지시로 과중한 업무를 수행해야 했던 경기지역 학교들의 업무 부담이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25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오는 10월부터 내년 1월까지 학교 현장에서의 불필요한 업무를 발굴해 관할 교육지원청으로 이관하는 작업을 벌인다. 이에 교사와 장학사, 교원단체 등 20~25명 내외로 구성된 TF팀을 꾸려 업무경감 과제를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내년에 예정된 경기도교육청 조직개편에 발맞춰 내년 1월까지 업무경감 과제 선정을 끝마치고, 2월 시범 운영을 목표로 한다. 또 2차, 3차, 4차 등 지속적으로 업무경감 과제를 찾아 학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교육지원청의 몸집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도 지난 7월 취임 이후 줄곧 학교의 불필요한 업무를 교육지원청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임 교육감은 지난 1일 단행된 조직개편을 통해 학교 행정업무 경감 등 학교행정개선 추진에 관한 사항을 새로 규정하고, 관련 팀을 만들어 정책 추진에 힘을 실었다. 이와 더불어 민선 5기 경기도교육감직 인수위원회도 학교 업무경감을 위해 본청 총괄 전담 기구(부서 등)를 신설하고 (가칭)학교지원센터 시설을 통한 학교 지원 중심 행정 체계로 개편이 필요하다고 권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책 추진 과정에서 도교육청이 시범 운영 중인 ‘학교 업무 재구조화’ 정책처럼 일선 현장의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교원과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맡고 있는 업무 가운데 일부를 교육지원청으로 이관하기 때문에 일부 직렬에서 불만이 터져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 2월 교무실과 행정실의 업무를 조정하는 ‘학교 업무 재구조화 시범사업’을 강행, 교육행정직 노조로부터 사업 철회 요구 등 반발에 직면한 바 있다. 당시 교육행정직 노조는 도교육청 발표에 교육감 관사를 중심으로 ‘끝장 투쟁’을 벌이는 등 도교육청과 대립각을 세웠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공통행정업무 가운데 일부를 교육지원청으로 가져와 학교의 부담을 줄이는 게 목표”라며 “TF팀 활동 종료 이후에도 다른 형태의 업무경감 과제를 발굴해 학교가 교육 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