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민간위탁 청소년센터의 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청소년 배치지도사들이 직영센터와 같은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인건비 등 처우가 낮아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 산하 청소년센터는 모두 6곳으로 여성청소년센터와 청소년센터, 산울림청소년센터, 소사청소년센터 등 4곳은 여성청소년재단이 직영으로 운영하고 고리울청소년센터와 송내동청소년센터 등 2곳은 민간 위탁으로 운영 중이다.
이런 가운데 민간위탁기관인 고리울·송내동청소년센터 소속 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와 청소년 배치지도사들의 인건비 등 처우가 낮은 것으로 파악돼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는 국가정책에 따라 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청소년 배치지도사의 정규직 전환 1단계로 정부 출연기관은 정규직 전환이 끝났고 이어 2단계로 2018년 시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4곳도 정규직 전환이 완료됐다.
하지만 2019년 3단계 대상으로 민간위탁기관 정규직 전환이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추진되지 않고 있어 민간위탁 2곳 센터에 대해선 정규직 전환이 미뤄지고 있다.
부천에서 근무하는 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와 배치지도사 인건비가 출연기관이냐 민간위탁이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3단계 정규직 전환이 언제 진행될지 알 수 없어 인건비 차이는 장기화할 전망이다.
일각에선 같은 국가 지침으로 운영되는 방과후아카데미와 배치지도사 인건비 차이로 민간위탁 센터에서 근무하는 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와 청소년 배치지도사는 상실감과 업무 동기 저하 등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정규직 전환에 따른 인건비 전액까지는 아니어도 모든 방과후아카데미 및 청소년 배치지도사에게 동일하게 급식비와 명절휴가비 등을 지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고리울청소년센터 관계자는 “현재 3단계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인건비 차이를 감수하더라도 급식비와 명절휴가비도 못 받고 있다”며 “시가 방과후아카데미 및 배치지도사의 운영지침 권고사항에 따라 추가 예산을 편성해 급식비와 명절휴가비를 지급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 대상은 인건비가 정부 보조금 지원으로 지급되고 있지만 민간위탁 센터는 아직 정규직 전환이 되지 않아 지원할 근거가 없어 안타깝다”며 “이들의 인건비는 생활임금을 기준으로 지급하고 있어 급식비는 생활임금에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부천=김종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