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전수평가' 사실상 부활…교육부, 기초학력·학업성취도 평가 대상 확대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가 증가하고, 학업성취도 격차가 심화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5년 전 폐지했던 ‘학력 전수평가’를 부활시키기로 했다.

교육부는 11일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하고 기초학력과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을 단계적으로 늘려 도움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국가가 개발한 진단 도구를 바탕으로 정확한 학생의 학업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종전 초1~고1을 대상으로 하던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을 2024년 고2까지로 확대한다. 2012년 도입한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은 학생이 기초학력을 갖췄는지 분석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학업성취도 평가가 아닌 기초학력 미달 여부만 가려내는 시스템이다.

올해 초6·중3·고2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기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도 내년에는 초5·6, 중3, 고1·2로 확대되고, 2024년부터는 초3~고2로 확대된다.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는 교과 영역과 사회·정서적 역량 등을 함께 진단하는 평가다.

교육부는 또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증가를 막기 위해 ‘다중 안전망’을 마련해 학습을 지원할 방침이다. 인공지능(AI) 학습프로그램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며, 1수업 2교사제를 정규수업과 교과 보충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초등 1~2학년 한글 익힘 시간 확대(종전 448시간→482시간), 두드림학교 전체 초·중·고교로 확대, 지원 과정에서의 학부모 참여 독려 등도 계획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과 자율평가 등을 연계하면 기초학력 미달 가능성이 있는 학생까지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에 따른 학력격차를 줄이기 위해 학생의 수준과 희망에 따라 방과후 소규모(1~5명) 교과보충 수업 지원과 교원자격증 소지자 같은 보조 인력을 활용한 튜터링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