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원 출신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속속 채워지는 도 산하기관장 임명 얘기다. 경기도사회서비스원장에 안혜영 전 의원이 내정됐다. 3선 도의원 출신이다.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에는 원미정 전 도의원이 내정됐다. 역시 3선 도의원을 했다. 경기교통공사에는 민모 전 의원이, 경기도교통연수원에는 김모 전 의원이 유력하다고 전해진다. 도의원 출신의 도기관장 취업은 사실 새로울 것도 없다. 그동안도 많았고, 앞으로도 많을 것 같다.
도산하 기관장 선임에 대한 도민의 관심은 높다. 김동연 지사의 약속 때문에 더욱 그렇다. ‘측근 채용은 없을 것’이라며 최고의 전문가를 모시겠다고 공언했다. 그런 고민을 짐작하게 하는 정황도 있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다. GH 임원추천위원회가 최종 후보 둘을 올렸다. 경기도가 ‘적격자 없음’ 결정을 내렸다. 도민에게는 ‘전문가 엄선’이라는 약속을 이행해 가는 과정으로 보였다. 그러더니 이게 뭔가. 줄줄이 전직 도의원이다.
의정 활동을 통해 도정 감시 역할을 해왔다. 기본적으로 행정에 대한 이해력은 높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경험만으로 기관 책임자의 충분조건을 갖췄다고 평할 순 없다. 경기도 행정을 30년 해온 공무원 출신도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정부 투자 기관의 본부장을 했어도 함량 미달이라며 퇴짜 맞았다. 사회서비스원장·복지재단 대표에 두 전직 도의원이 과연 경쟁자 없는 최고의 전문가라고 확인할 수 있다. 우리 기준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얼마 전까지 의회에서 ‘도민 삶’을 입에 올렸을 그들이다. 그 ‘도민 삶’의 핵심은 ‘일자리 창출’이었을 것이다. 그랬던 그들이 마치 ‘맡겨 놨다가 찾아가듯’ 기관장 자리에 밀고 들어오고 있다. 도민은 꿈도 못 꿀 일자리다. 27명의 기관장 가운데 억대 연봉자가 20명이다. 전체 74%가 1억원 이상을 받는다. 그보다 적다고 해도 모두 8천만원 이상의 고액 연봉자다. 꿈의 직장이자 선망의 직책이다. ‘왜 전 도의원이냐’를 따지는 게 아니다. ‘왜 전 도의원밖에 없냐’를 묻는 것이다.
곧 인사청문회가 시작된다. 대상 기관이 20개 기관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역시 ‘도의원 카르텔’의 한 부분이다. 도의원 출신들은 늘 무탈했다. 도의원 출신 기관장 후보가 낙마한 예를 본 적이 없다. 민선 30년, 많은 도산하 기관장 자리가 도의원 출신들에게 세습되고 있다. 거기에 ‘도의원 출신은 모든 도정의 전문가’라는 증명되지 않은 전제까지 깔려 있다. 경기도를 10년 취재한 기자가 행정 전문가라고 자청한다면 지나가는 소가 웃을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