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구리시 민원상담관제, 시의회 반대로 또다시 무산…내년 사업도 불투명
지역사회 구리시

구리시 민원상담관제, 시의회 반대로 또다시 무산…내년 사업도 불투명

구리시의회 제318회 임시회를 주관하고 있는 권봉수 의장

구리시가 도입하려던 ‘민원상담관제도’가 시의회의 반대로 두 차례나 무산돼 내년 사업도 불투명해졌다.

이 제도는 시가 간부급 퇴직 공무원을 재고용한 뒤 주민센터에 배치해 민원을 해소할 목적으로 추진됐으나 당초 취지와는 달리 퇴직자에 대한 자리 보전과 옥상옥(屋上屋)이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아 논란이 돼 왔다.

구리시의회는 제318회 구리시의회 임시회를 통해 제출된 2022년도 제3회 추경안 심의에서 시가 요구한 민원상담관 활동수당 2천520만원을 전액 삭감했다고 14일 밝혔다.

시의회는 앞서 지난달 정례회 중 제출된 2회 추경안 심의 때도 민원상담관 활동수당 3천780만원을 삭감 처리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올해 말부터 운영하려 했던 구리시 민원상담관제도는 사실상 무산됐다. 시는 내년 본예산을 통해 또다시 사업 예산을 요구할 것으로 보이나 이 또한 시의회 통과 여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시의회 예결특위는 삭감 이유에 대해 2회 추경안 심의를 통해 삭감됐음에도 사업 변경없이 그대로 제출하는 무성의 한 점을 들었다. 앞서 2회 추경 심사 때도 예산 편성에 대한 승인 없이 민원상담관을 위촉하는 등 부적절한 업무 처리가 도마에 오르며 의원들의 반발을 초래한 바 있다.

시는 사업비에 대한 의회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구리시 퇴직 공무원 및 퇴직 경찰 등 9명을 민원상담관으로 위촉했다.

김한슬 구리시의회 예결위원장(국민의힘)은 “민원상담관 활동수당은 제2회 추가경정 사업예산 심의 시 운영계획의 실효성 등을 이유로 삭감했음에도 사업 계획 변경없이 재편성을 요구했다”며 “구체적인 사업계획에 대한 공감대 형성 후 관련 예산을 상정하기 바란다”고 질책했다.

한편 시장 직속으로 운영되는 2년 임기의 민원상담관은 5급 이상 구리시 퇴직 공무원 및 경찰을 지역 8개 행복복지센터에 1명씩 배치해 센터를 찾는 민원인에 대한 민원 상담 및 고충 처리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추진됐다.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