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사설] 광역버스 또 입석 중단, 근본대책 없어 승객만 피해 본다
오피니언 사설

[사설] 광역버스 또 입석 중단, 근본대책 없어 승객만 피해 본다

오늘부터 경기도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가 전면 중단됐다. 국내 최대 규모의 노선버스 회사인 KD운송그룹의 경기지역 13개 버스업체가 최근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를 중단한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경기도가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한 가운데 하루 3천여명의 승객이 출퇴근길 심각한 승차난을 겪게 됐다.

KD운송에서 운행하는 도내 광역버스는 112개 노선 1천123대다. 경기 광역버스 220개 노선 2천93대의 절반을 넘는다. 입석 승차가 중단되는 노선은 112개 중 99개다. 경기도 전체 광역버스 노선의 절반 가까이가 입석 승차가 중단된 셈이다. 앞서 경진여객과 용남고속 등도 지난 7월부터 입석 승차를 중단했다.

KD운송의 13개 회사 입석률은 3%가량으로 하루 3천여명이 서서 출퇴근을 한다. 업체가 운행하는 광역버스는 주로 경기 동북부와 동남부 지역이다. 성남·화성·남양주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이 많으며, 광주·구리·군포·수원·양주·오산·용인·의정부·이천·평택·하남 지역이 운행 지역이다.

광역버스 입석 승차는 2018년 법 개정으로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는 경우 금지됐다. 하지만 출퇴근 시간에 수요가 집중되는 현실을 고려해 입석이 용인됐다. 그러다 지난 7월 일부 버스업체 노조가 운수종사자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준법투쟁에 나서 입석 승차를 중단했다. 버스업체들은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뒤 안전사고에 대한 부담과, 10·29 이태원 참사 여파로 이런 결정을 내렸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가 승차난 해소를 위해 출퇴근 시간대 버스 운행 횟수를 늘리고 전세버스를 투입하라는 권고안을 냈다. 이후 경기도는 정규버스 53대 증차와 전세버스 89회 투입 등의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대책이 원활하게 시행되기 어렵다. 시행은 다음 달에나 가능하다. 코로나19로 버스기사들이 상당수 이직해 운전사 수급이 쉽지 않고, 신차 출고도 시간이 걸려서다. 업계는 최소 100대의 증차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증차도 여의치 않다. 또 대규모 증차는 서울시 교통난을 불러올 여지가 커 서울시와의 협의가 쉽지 않은 어려움도 있다.

당장 버스 승차난의 해결책을 내놓기 어려워 보인다. 출퇴근 시민들은 혼잡함과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답답한 것은, 지자체들이 문제가 생길 때만 전전긍긍한다는 것이다. 광역버스 입석 승차가 법적으로 금지된 것이면, 이미 근본대책을 세웠어야 한다. 방치하다가 일을 크게 만들고 있다. 입석 승차 금지로 인한 승객 불편이 벌써 몇번째다. 임시방편의 졸속대책 아닌, 시민 안전을 위해 근본대책을 세워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