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호선 연장을 고대하던 수원·용인·성남시민에게 안 좋은 소식이다. 서울시가 밝힌 수서차량기지 이전 계획 철회 시사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23일 직접 밝힌 구상이다. 수서차량기지를 경기 남부지역으로 옮기기로 한 계획을 바꾸겠다고 했다. 대신 기지 주변을 입체적으로 복합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민에게는 도시 기능 강화를 위한 희소식일 수 있다. 하지만 기지 이전을 전제로 가져 왔던 경기도 지역의 기대는 최대 위기를 맞았다.
3호선 연장 기대는 고 박원순 시장 시절인 2019년부터 시작됐다. 당시 박 시장이 현재 수서차량기지 주변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재 차량기지를 서울 외곽으로 옮기는 것을 전제로 한 구상이었다. 이에 성남·용인·수원시 3개 지역이 3호선 연장의 계획을 세우게 됐다. 2020년 2월에는 경기도와 3개 시가 협약식을 갖고 관련 사업 추진에 나섰다. 고등지구(성남)에서 판교, 용인, 수원으로 이어지는 구간에 전철을 연장하는 내용이다.
관건은 대체 차량기지 확보였다. 초기에는 용인시가 가장 적극적이었다. 현 용서고속도로의 극심한 체증이 시급한 지역 현안이었다. 수지구 일대 일부 지역을 대체 차량기지로 검토하기도 했다. 하지만 워낙 광대한 부지가 필요한 탓에 적지를 찾지 못했다. 대체 부지는 최소한 20만8천264㎡였고, 여기에 10만㎡가 더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결국 30만8천여㎡를 확보해야 하는데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했다. 부지 확보 시도는 중단됐다.
최근에는 수원의 일부 지역이 물망에 오르기도 했지만 이 역시 진전되지 못했다. 또 다른 원인인 차량기지에 대한 주민의 거부감 때문이다. ‘비행장 피해에 이은 차량기지 피해’다. 이런 가운데 불거진 오세훈 시장의 차량기지 이전 백지화 발표다. 3호선 연장의 가장 큰 전제였던 기지 이전이 흔들린 셈이다. 안 그래도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서울교통공사다. 부지 이전에 따른 개발 이익이 없는 상태에서 3호선 연장에 나설 이유가 없어졌다.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다. 3호선 연장이 필요했던 현실적인 이유는 교통 체증이다. 용서고속도로를 따라 이어지는 이른바 용서라인의 출퇴근 시간 체증이 최악이다. 3호선 연장은 가장 확실한 해법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었다. 기존에 추진되던 체증 해소 구상이 이를 믿고 중단된 지역도 있다. 3호선 연장이 백지화 내지 중단된 만큼 대체 방도를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이는 3개 지역에 공통적으로 떨어진 현안이기도 하다.
성남시의 경전철 대체 방안은 그런 면에서 주목된다. 3호선 연장 추진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는 정책적 준비다. 시 관계자는 “경전철로 진행하면 기존 계획보다 사업비나 차량기지 면적이 줄어들 것”이라며 “관련 지자체와 협의해 전철 연장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용인시도 경전철을 3호선 대체안으로 언급한 바 있다. 예상 노선 등에서는 두 시간의 차이가 있지만 경전철을 매개로 함께 대안을 풀어갈 여지는 충분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