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시민교육포럼 4차] 코로나·기후 위기... 사회 문제 해법은 ‘공존·협력’

‘시민사회의 조건’ 주제 강연
직업 통한 장인의 길 탐구 등 소통공동체 활성화 방안 모색

image
22일 오후 수원특례시 광교테크노밸리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제4차 민주시민교육포럼’에서 장원섭 연세대학교 교수, 김형만 사단법인 아이야 대표, 박효선 청주대학교 교수, 이희수 중앙대학교 교수가 ‘더 많은 기회의 시대, 시민사회의 조건’을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더 나은 시민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대화의 장이 열렸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의 ‘2022 민주시민교육 4차 포럼’이 22일 광교테크노밸리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컨퍼런스룸 A101호에서 성료했다.

이번 포럼은 ‘더 많은 기회의 시대-시민사회의 조건’을 주제로 시민 사회의 형성 조건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민주시민교육 의식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로 기획됐다. 이날 행사장엔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와 김제선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 등 내빈을 비롯해 100여명의 시민들이 함께했다.

염 경제부지사는 축사를 통해 “교육에 참여한 시민활동가들이 향후 또 다른 터전에서 교육의 주체로 활동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희망한다”며 “더 많은 기회, 더 고른 기회, 더 나은 성과를 만들기 위해 경기도 민주시민교육이 여러분과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이성혁 아나운서가 사회를 맡은 이번 포럼은 기조강연과 패널토론으로 구성된 1부에 이어 기조강연 및 토크쇼가 펼쳐지는 2부로 진행됐다. 1부에서는 장원섭 연세대 교육학부 교수가 ‘직업사회에서 시민의 조건-장인성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하는 기조강연을 맡았다.

장 교수는 현대인이 일을 통해 삶의 가치를 찾아가는 장인들의 태도와 자세를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일은 인간 삶의 존재 의의를 실현하는 활동이므로 일하는 동안에도 행복할 수 있어야 삶의 행복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하는 사람의 본보기이자 롤모델’이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장인”이라며 “자기 실현을 위해 힘쓰고, 진정성을 담아 일하는 사람들이야말로 타인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건전한 시민이자 장인이다”라고 말했다.

image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와 김제선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 등 참석자들이 ‘제4차 민주시민교육포럼’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이후 패널 토론에선 좌장 이희수 중앙대 교수를 중심으로 김형만 사단법인 아이야 대표, 박효선 청주대 교수가 토론에 참여해 의견을 나눴다. 이 교수는 “일의 의미를 상실한 시대에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강연을 통해 잘 드러났다”면서 “직업교육과 시민교육이 반드시 함께 진행돼야 장인사회의 터전 마련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정책현장에서 장인성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라며 “교육훈련과 학습 등에 있어서 실질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장 교수는 “우리 일터·학교가 근로자·학생에게 성공 경험, 성취감을 제공하려는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박 교수는 “안정적인 장인 사회를 구축하는 데 있어 사각지대의 해소 방안이 필요하다”며 “정부나 도 차원에서 소외·취약계층이 성장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장 교수도 “기회가 적은 이들에 대한 지원도 있어야 하며 다양한 일터에서도 상황에 맞는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공감했다.

이어지는 2부에선 정준희 한양대(에리카 캠퍼스)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가 ‘더 나은 기회의 시대-시민사회의 조건’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정 교수는 현 시점에 논의돼야 하는 시민사회의 특성과 형성 조건에 관해 설명했다. 정 교수는 “우리 시민 사회에 결핍된 요소들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고 강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면서 “지적·감성적 성찰을 얻을 수 있는 소통 공동체를 늘리는 작업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지는 토크쇼에선 이창호 오산남부청소년 문화의집 관장, 박혜경 (사)배움과돌봄 네트워크 회장, 이한위 배우 등 다양한 분야의 시민들이 패널로 참여해 시민 사회를 바라보는 각자의 관점을 자유롭게 나눴다.

박 회장은 “관계와 융합의 시대를 만들어가는 모든 활동을 시민사회로 여긴다”면서 “관계는 누군가를 대면할 때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사회적 교육과 함께 사회적인 접점을 많이 키워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배우도 “건강한 시민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선 가치 있는 삶을 살려는 개인의 노력이 그 어떤 가치보다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관장은 “초연결사회 속에서는 기술적인 부분보다도 사람들의 활동이 더욱 요구된다”면서 “시민들의 활동 무대를 강화하기 위해선 그들에 대한 교육 방식, 평생교육의 적용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작은 노력들에서부터 더 나은 조건과 기회가 시작된다”면서 “지역민들 각자가 내 삶의 영역에서 느끼는 문제들을 스스로가 알아내 해결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제선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시민들이 각자의 역량을 키우는 시대에, 사회 기반을 다지는 과정에 민주시민교육이 함께할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코로나19 대유행, 양극화, 기후 위기 등 직면한 여러 문제를 헤쳐나가는 데 있어 시민들의 공존과 협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며 “우리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야 사회 전반에 산재한 문제를 다룰 수 있다. 올해 지속된 네 차례의 민주시민교육포럼이 더 나은 민주주의의 터전으로 이어지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송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